美·日 보험업계 ‘생성형 AI’ 활용
허위 정보 생성으로 피해 줄 수도
#1. 상담 중인 고객이 실제로 보험에 가입할 사람인지 아닌지를 인공지능(AI)이 계산해 보험설계사에게 귀띔한다.#2. AI가 교통사고 영상을 모두 분석해 예상 보험금을 계산한다.
#3. AI가 보험사 신입 직원에게 고객 응대 훈련을 시키고 점수를 매긴다.
다음 중 실제 보험시장에서 적용되는 AI 기술을 고른다면 몇 번일까. 정답부터 말하면 1~3번 모두다. 8일 보험연구원 보고서 ‘생성형 AI 시대, 보험산업의 AI 활용과 과제’에 따르면 해외 보험사들은 이른바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 활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반면 국내 보험사의 생성형 AI 활용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보험연구원은 전 세계 보험산업에서 생성형 AI가 차지하는 시장 규모가 2022년 3억 달러(약 4059억원)에서 2032년 55억 달러로 18배 이상 불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그간 보험사들은 주로 분석형 AI를 활용해 자사가 방대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정도에 그쳤지만 최근엔 적극적으로 생성형 AI를 적용하고 있다. 실제 미국 자동차 보험사 클리어커버는 특정 잠재 고객이 실제 고객이 될 것인지 판단해 보험설계사에게 알려준다. 미국의 대형 보험사 리버티뮤추얼은 AI를 활용해 교통사고 수리비를 산출한다. 일본 보험사 제일생명 프런티어는 고객관리 담당자 훈련에 AI를 투입했다.
우리나라는 교보생명, 삼성화재, DB손해보험 등이 고객 응대 챗봇, 업무지원 챗봇 등 상대적으로 단순한 업무에 생성형 AI를 투입하고 있다.
보험연구원은 “AI 활용은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할루시네이션(환각) 등으로 잘못된 정보를 확산시키는 피해를 키울 수 있다”면서 “피해를 막기 위한 노력에도 보험사들이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4-04-0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