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순익 73% 급감

증권사 순익 73% 급감

입력 2013-08-26 00:00
수정 2013-08-26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양적완화 종료설에 채권금리 크게 올라

미국의 출구전략(경기 부양책을 거둬들이는 것) 가능성으로 증권사들이 채권투자에서 큰 손실을 내 1분기(4~6월) 순이익이 급감했다. 전체 증권사의 3분의1이 적자에 빠졌다.

금융감독원은 25일 국내 증권사 62곳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192억원으로 전 분기(4461억원)보다 73.3% 줄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2040억원)보다는 41.6% 감소했다.

전체 증권사의 33.9%인 21곳이 적자를 냈고 41곳은 흑자를 봤다. 주요 증권사 가운데 현대증권과 대신증권은 각각 220억원, 55억원의 순손실을 내기도 했다. 우리투자증권의 순익은 2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0.6% 감소했고 삼성증권은 100억원으로 71.2% 줄었다. 대우증권은 순익이 7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7% 줄었고 미래에셋증권은 순익이 62억원으로 42.5% 감소했다. 반면 한국투자증권은 287억원의 순익을 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9% 늘었고, 하나대투증권은 순익이 5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4.1% 늘었다.

전체 증권사 순익이 많이 줄어든 것은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출구전략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면서 채권금리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금리 상승으로 채권 관련 이익이 지난해 4분기 1조 6483억원에서 올해 1분기 3345억원으로 1조 3000억원이나 감소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08-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