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한수 사회2부 차장
무엇보다, 남은 사람들은 돌더미 같은 숙제를 안았습니다. ‘가진 자(者)’들일수록 여전히 ‘병역기피’라는 망령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헤맵니다. 저주입니다. 그대들을 “왜 영웅으로 여기냐.”는 말까지 나오는 것도 그런 까닭입니다. 참 뼈아프도록 슬픈 비유입니다. 앳된 사병들이 나라를 지키다 스러져도 ‘X죽음’이라고 불리는 현실은 동강난 함수(艦首)·함미(艦尾)와 함께 우리를 한없이 부끄럽게만 합니다.
국민 애도의 날이자 ‘해군장’으로 영령들을 모신 29일, 길 지나던 시민들도 하얀 국화를 영전에 바치며 흐느끼고 엄마 손에 이끌려 분향소를 찾은 고사리손도 죽음의 뜻을 헤아려 “훌륭한 아저씨들이라 부디 하늘나라에서 잘 지내시길 빈다.”며 울먹입니다. 어디 수병(水兵)만의 일이겠습니까. 살아남은 자들은 언제까지나 비겁합니다. ‘내 탓’ 외치는 이들은 없고 ‘네 탓’ 목청만 높습니다. 꼭 껴안고 죽어도 좋을 사랑하는 아들을, 형제를, 남편을 나라를 위해 내놓은 국민들에게 생채기로 남을 응어리라곤 생각지도 않고 의사자(義死者) 추진이니 뭐니 뒤늦게 떠듭니다.
용사들을 떠나보내며 이 땅은 축제의 춤판을 모두 거두고 몸을 낮추었습니다. 하지만 곧 희망의 굿판을 벌일 것입니다. 46용사들이 힘을 보탤 테니 말입니다. 억울한(?) 희생이 다시는 없도록 입술을 깨물며 다짐하고 또 다짐합니다. 힘차게 일어나 실타래처럼 얽힌 숙제를 해결하는 일로 그대들 넋을 달랠 것입니다.
onekor@seoul.co.kr
2010-04-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