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즐겨라, ‘호모루덴스’ -‘나는 가수다’사태를 보며/조혜정 영화평론가·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문화마당] 즐겨라, ‘호모루덴스’ -‘나는 가수다’사태를 보며/조혜정 영화평론가·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입력 2011-04-07 00:00
수정 2011-04-07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월 한달 대중문화계의 화제는 단연 ‘나는 가수다’였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달 27일 4회까지 방송하고 현재 재정비에 들어간 상태니 5월에나 다시 볼 수 있을 듯한데, ‘나는 가수다’(이하 ‘나가수’) 청중평가단 신청이 4만 4000건을 돌파했다는 기사를 보니 ‘나가수’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여전히 뜨거움을 알겠다. ‘나가수’에 대중의 관심과 이목이 집중된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다. 하나는 마음을 흔드는 노래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반칙행위 때문이다. 하나는 환호와 감동을 쏟아냈고, 다른 하나는 질타와 분노를 분출시켰다.

이미지 확대
조혜정 영화평론가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조혜정 영화평론가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나가수’의 출연가수들은 가창력이 뛰어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는 김건모·김범수·박정현·백지영·윤도현·이소라·정엽이고, 이들이 그야말로 혼신의 힘을 다해 부르는 노래들은 희열과 벅찬 감동으로 다가왔다. 눈을 감고 오직 노래에만 필사적으로 집중하던 이소라의 ‘바람이 분다’와 ‘너에게로 또다시’를 들으며 필자 역시 숨이 멎을 만큼 처연한 감성으로 빠져들었다. 솔(soul) 창법으로 부르는 정엽의 ‘짝사랑’은 저 노래가 저렇게 멋진 노래였던가, 소름이 돋을 만큼 매력적이었다. 박정현의 다이내믹한 가창력, 윤도현의 자유롭고 힘찬 카리스마, 김건모의 능란함과 김범수의 매혹적인 고음, 백지영의 호소력 짙은 목소리 등 누구 하나 빠질 게 없는 절창들이었다.

근래 이렇게 멋진 무대를 본 적이 있던가? 이렇게 노래 하나로 현장의 청중뿐만 아니라 TV 앞의 시청자들까지 전율과 감동으로 휘어잡았던 무대가 있었던가 말이다. 그래서 ‘나가수’가 방송을 타자마자 이 프로그램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는 한껏 고조되었고, 다투어 감상을 쏟아내고 공유하기 바빴다.

그런데 대중의 환호와 감동을 분노로 바꿔 버린 것은 순간의 선택이었다. ‘서바이벌’ 형식을 띤 이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룰’을 바꿔 버린 것이다. 탈락을 예고해 놓고 ‘재도전´이라는 생존의 기회를 준 것이 대중에게는 반칙과 기만으로 비쳐졌다. 그리고 이 ‘반칙행위’는 공정성 시비로 이어지면서 우리 사회의 민감한 부분을 건드리게 되었다. 방송사는 PD 교체라는 무리수를 두었고, 해당 가수는 자진사퇴를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나가수’ 사태를 보면서 자연스레 ‘호모루덴스’(Homo ludens)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네덜란드 역사학자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가 중세까지의 인간 본성과 문명의 발전에 대해 명명한 이 말이 오늘 한국의 한 예능프로그램에도 시사하는 바 적지 않다는 게 꽤 흥미로웠다. 놀이하는 사람, 유희적 인간 정도로 번역되는 ‘호모루덴스’는 놀이가 인간의 본성 중 하나이며, 고대의 의례나 종교의식·철학·예술·전쟁까지도 놀이와 연관되어 있다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하위징아는 놀이가 단지 노는 것(fun)에 그치는 게 아니라 정신적 창조활동이라는 점을 상기시키지만, 기본적으로 놀이의 특성은 자발성과 경쟁성에 있다고 지적한다. 당연히 자발성은 즐김을 내포하고, 경쟁성은 상호 발전적 에너지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나가수’ 사태가 아쉬웠던 점은 바로 호모루덴스의 놀이정신, 그 즐김의 정신이 사라지고, 과도한 긴장과 배제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는 측면이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가수들이 조금만 더 경직성을 덜어내고 그 무대를 즐겼으면 좋지 않았을까. 최선을 다해 경합하고 결과에 아름답게 승복했으면 얼마나 보기 좋았을까. 탈락이 배제가 아니라 양보라고 생각했으면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프로그램을 보는 대중도 마찬가지. ‘게임의 규칙’을 어기고 그 빌미를 제공한 제작진에 대해 비판하는 것은 맞지만, 프로그램의 존폐 여부를 거론하고 가수 개인에 대해 공격하는 것은 과도한 측면이 있었다. 이 프로그램을 진정 즐겼더라면 아름다운 경합에 박수를 보내고 좀 더 지켜보는 여유도 보여줄 수 있었으리라.

어디 ‘나가수’ 프로그램뿐이겠는가. 우리 사회는 많은 부분에서 경직성과 조급성, 공격성을 드러낸다. 그래서 호모루덴스의 ‘즐김’의 정신이 더 필요해 보인다.
2011-04-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