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5년 여름이었다. 출판사를 운영하는 친구가 급히 연락해 서울 남산의 한 작은 찻집에서 만났다. 문학 소녀였던 그 친구는 20년 넘게 출판사를 운영하고 있었고, 여전히 문학 관련 책을 출간하는 데 매진하고 있었다. 베스트셀러는 언제 낼 거냐는 말을 심심찮게 듣곤 했지만, 아랑곳하지 않고 뚝심 있게 한길을 걸어온 든든한 친구였다.
만나자마자 이 친구는 “문화 계간 잡지를 만들자.”며 진중하게 말을 끄집어냈다. 작심을 한 듯이 나를 설득하기 시작했다. 오랫동안 생각해 온 것을 도마에 올려놓았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무슨 황당한 이야기를 하냐며 손사래를 쳤다. 요즘 같은 영상시대에 문화 잡지를 누가 읽느냐며 만류했다.
이미 문학평론가이자 영화평론가인 강유정, 김서영을 비롯해 미술평론가 강수미를 끌어들여 놓고 나에게 찾아온 터였다. 그는 대중문화와 음악만 들어오면 다양한 문화 장르에 대한 담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나는 1년도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에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문화 잡지가 발행되지 않았고, 누구도 해서는 안 되는 무모한 짓으로 보였다.
그러나 이듬해 2006년 문화계간지 ‘쿨투라’ 봄호가 출간되었다. 그리고 6년이 흘렀다. 2012년 ‘쿨투라’ 봄호가 지난달 27일 발간되었다. 벌써 통권 25호다. 계절을 맞을 때마다 토해 낸 문화 전령의 활자는 25권의 책으로 독자들과 만남을 거듭했다. 거짓말 같은 현실이었다. 문화 관련 단체 등의 어떤 도움도 없이, 책 광고 한 번 없이 이어 온 국내 유일의 문화 전문 계간지의 발자취였다.
이 기적 같은 일은 책을 낼 때마다 적자를 감수한 출판사와 편집위원들의 사명감과 자긍심, 또 소수 독자들의 격려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돌이켜보면 고독과 사투하는 마라토너의 길을 뛰어온 세월이었다. 그간 쿨투라의 편집위원은 문학평론가 이재복, 홍용희, 영화평론가 전찬일로 바뀌어 명맥을 이어 왔다.
문화의 의미를 담고 있는 ‘쿨투라’는 그간 문학, 영화, 미술, 대중문화 등 서로 다른 문화의 영역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글쓰기를 지향해 왔다. 거창한 담론을 내세우기보다는 현재의 살아 움직이는 문화적 역동성을 읽어 내고 전망을 모색함과 동시에 대중의 문화적 기호를 이끌 수 있는 문화 전문지로서의 자세를 견지해 왔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한류와 관련한 김지하 특집 좌담과 각 방면의 전문가들이 대한민국 문화축제 지형도를 그려 낸 기획은 큰 관심을 받기도 했다. 특히 지난해 여름 ‘쿨투라’가 뉴욕에서 개최한 한류 좌담과 시네토크, 박제동 화백 전시회 등은 해외에 우리 문화를 알리는 의미 있는 일로 평가받았다.
지난달 27일 저녁 남산 문학의 집에서 출판 기념회가 있었다. ‘쿨투라’ 봄호와 ‘오늘의 시’, ‘오늘의 소설’, ‘오늘의 영화’ 단행본이 함께 출판된 자리에는 김승옥, 윤후명, 안도현 등 문학인들과 이장호 감독, 영화 ‘완득이’의 이한 감독, 영화평론가 유지나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인들이 참석했다. ‘쿨투라’가 여러 문화 장르를 넘나든다는 말을 실감케 하는 대목이었다.
이날 이장호 감독은 “영화 시상식을 많이 다녀봤지만 전 장르에 걸쳐 문화예술인이 함께 모여서 하는 행사는 드물다.”면서 “20년 전 영화를 만들 때 만났던 김승옥, 윤후명 등 작가들을 이 자리에서 다시 만나니 옛날로 돌아간 듯한 기분”이라며 감회에 젖었다. 그는 또 “돈도 되지 않는 문화 잡지를 만들고 시, 소설, 문학뿐만 아니라 영화에까지 걸쳐 한 해의 결과를 집계하고 작가와 감독에게 상 주는 것을 작은 출판사가 6년 이상 해 왔다는 것은 여간 의미가 깊지 않은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회성과 급변성이 대세인 영상시대의 광풍 속에 활자의 힘으로 문화를 끌어안고 가는 이 작은 책의 의미는 우리가 걸어온, 우리 문화의 지형도를 기록하고, 그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데 있다. 그 본연의 모습으로 힘든 6년을 버텨 왔고 또 그렇게 걸어갈 것이다.
강태규 대중문화평론가
이미 문학평론가이자 영화평론가인 강유정, 김서영을 비롯해 미술평론가 강수미를 끌어들여 놓고 나에게 찾아온 터였다. 그는 대중문화와 음악만 들어오면 다양한 문화 장르에 대한 담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나는 1년도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에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문화 잡지가 발행되지 않았고, 누구도 해서는 안 되는 무모한 짓으로 보였다.
그러나 이듬해 2006년 문화계간지 ‘쿨투라’ 봄호가 출간되었다. 그리고 6년이 흘렀다. 2012년 ‘쿨투라’ 봄호가 지난달 27일 발간되었다. 벌써 통권 25호다. 계절을 맞을 때마다 토해 낸 문화 전령의 활자는 25권의 책으로 독자들과 만남을 거듭했다. 거짓말 같은 현실이었다. 문화 관련 단체 등의 어떤 도움도 없이, 책 광고 한 번 없이 이어 온 국내 유일의 문화 전문 계간지의 발자취였다.
이 기적 같은 일은 책을 낼 때마다 적자를 감수한 출판사와 편집위원들의 사명감과 자긍심, 또 소수 독자들의 격려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돌이켜보면 고독과 사투하는 마라토너의 길을 뛰어온 세월이었다. 그간 쿨투라의 편집위원은 문학평론가 이재복, 홍용희, 영화평론가 전찬일로 바뀌어 명맥을 이어 왔다.
문화의 의미를 담고 있는 ‘쿨투라’는 그간 문학, 영화, 미술, 대중문화 등 서로 다른 문화의 영역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글쓰기를 지향해 왔다. 거창한 담론을 내세우기보다는 현재의 살아 움직이는 문화적 역동성을 읽어 내고 전망을 모색함과 동시에 대중의 문화적 기호를 이끌 수 있는 문화 전문지로서의 자세를 견지해 왔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한류와 관련한 김지하 특집 좌담과 각 방면의 전문가들이 대한민국 문화축제 지형도를 그려 낸 기획은 큰 관심을 받기도 했다. 특히 지난해 여름 ‘쿨투라’가 뉴욕에서 개최한 한류 좌담과 시네토크, 박제동 화백 전시회 등은 해외에 우리 문화를 알리는 의미 있는 일로 평가받았다.
지난달 27일 저녁 남산 문학의 집에서 출판 기념회가 있었다. ‘쿨투라’ 봄호와 ‘오늘의 시’, ‘오늘의 소설’, ‘오늘의 영화’ 단행본이 함께 출판된 자리에는 김승옥, 윤후명, 안도현 등 문학인들과 이장호 감독, 영화 ‘완득이’의 이한 감독, 영화평론가 유지나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인들이 참석했다. ‘쿨투라’가 여러 문화 장르를 넘나든다는 말을 실감케 하는 대목이었다.
이날 이장호 감독은 “영화 시상식을 많이 다녀봤지만 전 장르에 걸쳐 문화예술인이 함께 모여서 하는 행사는 드물다.”면서 “20년 전 영화를 만들 때 만났던 김승옥, 윤후명 등 작가들을 이 자리에서 다시 만나니 옛날로 돌아간 듯한 기분”이라며 감회에 젖었다. 그는 또 “돈도 되지 않는 문화 잡지를 만들고 시, 소설, 문학뿐만 아니라 영화에까지 걸쳐 한 해의 결과를 집계하고 작가와 감독에게 상 주는 것을 작은 출판사가 6년 이상 해 왔다는 것은 여간 의미가 깊지 않은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회성과 급변성이 대세인 영상시대의 광풍 속에 활자의 힘으로 문화를 끌어안고 가는 이 작은 책의 의미는 우리가 걸어온, 우리 문화의 지형도를 기록하고, 그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데 있다. 그 본연의 모습으로 힘든 6년을 버텨 왔고 또 그렇게 걸어갈 것이다.
2012-03-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