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시어머니 한 번 모셔봤으면/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문화마당] 시어머니 한 번 모셔봤으면/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12-10-04 00:00
수정 2012-10-04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 나도 시어머니 한 번 모셔봤으면….”

이미지 확대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이 기막힌(?) 말은 20여년 전에 내 아내가 했다. 결혼한 친구들을 만났더니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들 시어머니 험담을 하더란다. 일부는 중립을 지키는 신랑에 대해서도 불만을 토로했단다. 바로 그런 성토 분위기에 내 아내가 찬물을 끼얹은 말이 바로 “시어머니 한 번 모셔봤으면”이다.

나의 부모님은 함께 월남하셨기에 남쪽에는 친척이 별로 없다. 자식도 많지 않아 형제만 두셨다. 그나마 두 분 다 내가 고등학교 때 돌아가셨다. 시댁의 실체가 거의 없다 보니, 결혼과 관련해 신랑 쪽에서 내려야 할 모든 결정은 내가 내렸다. 나는 함 들어가면서 동네 시끄럽게 하는 게 싫어 나 혼자 함을 들고 처가에 갔다. 피로연도 없앴다. 아내에게 시부모님은 사진 속의 모습과 산소의 비석으로 입력되었을 뿐이다.

이런 환경 때문인지는 몰라도, 나는 아내의 친구들이 겪는 시어머니와의 갈등을 들으면 화가 살짝 난다. 아내의 이야기에 내가 처음 하는 질문은 “한쪽 말만 듣고 판단할 수 있나?”이다. 그런데 아내의 말에는 참 이상한 힘이 있어, 조금 듣다 보면 아내의 말이 곧 사실로 다가온다. 그러면 나는 또 이런 질문을 한다. “그럼 OOO씨(신랑)는 뭐 한대? 그냥 보고만 있대?”

아내의 말을 빌리자면, 남편들 중 50% 정도는 어머니 편을 들고, 40% 정도는 아예 끼어들지 않으려 한단다. 그런데 나는 그게 좀 불만이다. 아니, 결혼한 남자에게 누가 가장 가까운가? 아내와는 촌수도 없는 일심동체 아닌가? 또한 자기 인생을 던져 남편 한 명만 바라보고 시집에 합류한 그 여인을 남편이 지켜주지 않는다면, 그게 말이 되나? 그런데 남편의 무려 90%가 어머니 편을 들거나 고고한 척 중립을 지킨다고?

요즘 부부 간 갈등을 보면, 시집 식구들의 간섭 때문이 적지 않다.

어엿한 ‘남의 가정’에 왜 이러쿵저러쿵 간섭을 할까?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왜 스스로 그런 외부 간섭을 물리치지 못하고, 그 감당을 슬쩍 아내에게 넘길까? 시어머니의 간섭도 이해가 안 가는데, 시누이 간섭이나 손윗동서의 간섭은 더더욱 이해가 안 간다. 누나나 형이나 형수가 자신의 아내에게 막 대한다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준엄하게 한 마디 액션을 취하는 게 정말 그렇게 힘들까? 아니면 귀찮아서 빠지는 걸까? 이런 내 생각을 친구들에게 밝히면, 대개 “너도 한 번 겪어 봐. 그게 그렇게 간단하질 않아. 겪어 보지 않았으면 입 다물어.”라면서 머리를 흔든다.

아내는 딸부자 집 셋째 딸이라 중간에 끼여 위 아래로 치이며 있는 듯 없는 듯 컸다. 처가에 다들 모일 때도 대개 설거지하는 딸(아내)만 노상 설거지를 했다. 처가에서 무슨 일이 생겨도 궂은 일은 아내 몫이었다. 아내조차 그걸 잘 느끼지 못하며 성장했고, 결혼 초기에는 나도 미처 간파하지 못했다. 세월이 흐르며 이런 분위기는 셋째 사위인 내게도 자연스레 전이되었다.

그러나 처가에서 아내의 위상을 분명히 느낀 나는 10년 전 처가 모임에서 “영희(가명)는 이제 아버님 어머님의 딸이기 이전에, 영희는 스스로 영희이며 또한 제 아내입니다.”라고 선언했다. 물론 무슨 얘기가 나왔을 때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타이밍을 맞춰 부드럽게 공표했다. 그래도 “영희는 내 식구이므로 앞으로는 부모님일지라도 함부로 뭐라 하지 마시라.”는 공개선언이었으니, 다른 처가 식구들은 아예 토를 달 여지도 없었다. 그날 분위기는 좋았고, 아내의 위상은 크게 바뀌었다. 다른 자매들의 시샘도 한몸에 받았다.

처가에서 사위의 말과 시가에서 며느리의 말이 그 무게에서 엄청 다르지만, 이제는 한국의 남편들이 그 차이를 좁히는 데 나설 때이다. 한국의 ‘시집문화’를 ‘처가문화’ 수준으로 바꿀 주체는 바로 이 땅의 남편들이다. 한가위 보름달이 지켜볼 것이다.

2012-10-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