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서울 구의동 한강변의 화양지구택지개발 현장에서 발굴 조사가 벌어졌다. 아파트 개발 예정지에 있던 해발 53m 언덕 정상에서 삼국시대 보루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보루란 군사가 주둔한 일종의 요새이다. 이듬해까지 이어진 발굴 조사에서 돌로 쌓은 직경 14.8m의 고구려 유적이 드러났는데, 내부에서는 건물터와 온돌 및 배수 시설이 확인됐다. 강 건너 백제의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바라보이는 보루에서는 토기와 무기 등 3000점 남짓한 유물이 수습됐다. 발굴 당시 보루 내부의 아궁이에는 군사들의 밥을 짓는 철솥과 철항아리가 그대로 걸려 있어 이곳에 주둔한 부대는 기습 공격을 당해 전멸한 것으로 학계는 해석했다. 하지만 구의동 보루가 있던 언덕은 택지개발 공사를 강행하여 완전히 깎여 나갔고, 1983년 아파트가 들어섰다. 지금의 자양 한양아파트이다.
중국이 사실상의 ‘고구려사 왜곡 박물관’인 지린(吉林)성의 지안(集安)박물관을 새달 1일 개관한다는 소식이다. 고조선과 부여, 고구려, 발해의 역사를 중국의 지방사로 치부하는 이른바 동북공정의 결과물이다. 고구려가 AD 3년부터 427년까지 도읍한 지안시엔 1만 2000기를 헤아라는 고구려 고분이 있다. 광개토대왕비도 있다. 그럼에도 박물관은 글로 표현하지만 않았을 뿐 누구나 ‘고구려 역사는 중국 역사’라고 인식하도록 동북공정의 내용을 철저히 반영했다고 한다. 고구려가 수나라· 당나라와 맞붙어 대승을 거두었다는 역사적 사실과 고구려가 지안에서 평양으로 천도한 뒤 668년까지 존속했다는 사실을 설명하지 않은 것도 의도를 짐작하게 한다. 중국은 발해의 수도 상경이 있던 헤이룽장(黑龍江)성 닝안(寧安)시에도 발해박물관을 만들고 있다고 한다.
2003년부터 준비했다는 지안박물관 개관 소식을 듣고 ‘구의동 참사’를 떠올린다. 그들은 동북공정으로 만든 ‘시나리오’대로 박물관을 지어 ‘물증’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우리는 분개만 했을 뿐 의식은 고구려 보루를 흔적도 없이 쓸어버릴 당시의 수준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은 듯하다. 고구려 박물관 건립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고구려 유적이 있는 아차산을 사이에 둔 서울 광진구와 경기 구리시의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오히려 진전을 막았다. 최근에야 고구려 박물관 건립을 위한 정부 차원의 첫 연구 용역 결과가 공표됐으니 아직도 갈길은 멀다. 그럴수록 고구려 역사는 이제부터라도 말보다는 행동으로 지켜야 한다. 지안박물관을 부끄럽게 할 ‘국립고구려박물관’의 출범이 그 첫 결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중국이 사실상의 ‘고구려사 왜곡 박물관’인 지린(吉林)성의 지안(集安)박물관을 새달 1일 개관한다는 소식이다. 고조선과 부여, 고구려, 발해의 역사를 중국의 지방사로 치부하는 이른바 동북공정의 결과물이다. 고구려가 AD 3년부터 427년까지 도읍한 지안시엔 1만 2000기를 헤아라는 고구려 고분이 있다. 광개토대왕비도 있다. 그럼에도 박물관은 글로 표현하지만 않았을 뿐 누구나 ‘고구려 역사는 중국 역사’라고 인식하도록 동북공정의 내용을 철저히 반영했다고 한다. 고구려가 수나라· 당나라와 맞붙어 대승을 거두었다는 역사적 사실과 고구려가 지안에서 평양으로 천도한 뒤 668년까지 존속했다는 사실을 설명하지 않은 것도 의도를 짐작하게 한다. 중국은 발해의 수도 상경이 있던 헤이룽장(黑龍江)성 닝안(寧安)시에도 발해박물관을 만들고 있다고 한다.
2003년부터 준비했다는 지안박물관 개관 소식을 듣고 ‘구의동 참사’를 떠올린다. 그들은 동북공정으로 만든 ‘시나리오’대로 박물관을 지어 ‘물증’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우리는 분개만 했을 뿐 의식은 고구려 보루를 흔적도 없이 쓸어버릴 당시의 수준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은 듯하다. 고구려 박물관 건립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고구려 유적이 있는 아차산을 사이에 둔 서울 광진구와 경기 구리시의 유치 경쟁이 과열되면서 오히려 진전을 막았다. 최근에야 고구려 박물관 건립을 위한 정부 차원의 첫 연구 용역 결과가 공표됐으니 아직도 갈길은 멀다. 그럴수록 고구려 역사는 이제부터라도 말보다는 행동으로 지켜야 한다. 지안박물관을 부끄럽게 할 ‘국립고구려박물관’의 출범이 그 첫 결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04-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