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준 사회2부 차장
이것을 무시하면 본래 취지가 왜곡되고, 비난의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박 신부가 중점을 둔 것은 국가기관 대선개입 문제임에도 여권과 보수진영은 연평도 발언만을 문제 삼아 총공세를 취하고 있다. 원래 정치권 인사들의 주장에는 아전인수격인 경우가 많다. 대선 전후 불거진 북방한계선(NLL) 문제도 지금껏 서로 자신들의 주장만을 반복하며 논란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시국미사를 둘러싼 논쟁도 배경은 뒷전이고 다시 종북몰이로 치닫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여기에는 박 신부의 책임도 있다. 연평도·천안함 사건을 취재했던 기자가 볼 때 박 신부의 주장은 타당성이 없다. 해당 발언에 적절한 유감 표명이 있었더라면 본말이 전도되는 현상이 빚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외수씨도 “총탄을 맞은 느낌”이라고 반발할 것이 아니라 “당시는 여러 의문점이 있어 정부 발표를 믿을 수 없었다”고 해명하는 것이 상식적이다. 천안함 폭침 당시 최원일 함장은 비교적 자신의 역할을 다했음에도 생존 장병들에게 “외부에 발설하지 말라”고 지시함으로써 멍에를 짊어지게 됐다. 은폐 시도는 감당할 수 없는 결과를 낳게 된다.
우리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사과에 인색하고 자신의 잘못은 부인으로 일관한다는 것이다. 뇌물수수, 횡령, 배임 등으로 검·경의 수사를 받게 된 정·관·재계 인사들이 혐의를 인정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심지어 구체적 증거가 드러나도 결백을 주장한다. 어떤 이는 ‘하늘에 맹세컨대’라는 말까지 동원해 순진한 국민들을 헷갈리게 한다. 하긴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에 신물이 났을 법한 검찰마저 막상 자신들이 개입된 사건이 일어나면 부인하고 물타기로 일관하는 것이 현실이다.
사과와 유감 표명에 인색함을 지적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이다. 국가기관들의 대선 개입으로 온 나라가 들끓고 있음에도 “(나는) 덕본 게 없다”고 한마디 하고는 본질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침묵을 이어 왔다. 그러다가 박 신부의 발언이 불거지자 “용납하거나 묵과하지 않겠다”며 발끈했다. 차라리 계속 말을 아꼈으면 나을 뻔했다.
박 대통령으로서는 전 정권의 일로 자신이 표적이 되는 상황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통령은 통합의 상징이며, 선거 과정에서도 국민 대통합을 이루겠다고 여러 번 강조했다. 그가 취임 후 보여준 것은 인식의 편협함과 판단력 부족, 소통 부재였다. 당초 자연인 박근혜를 잘 아는 사람들이 우려했던 점들이다. 현재 여야가 극단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근저에는 대통령의 타협 없는 성정과 그것을 의식하는 참모들의 무소신이 자리 잡고 있다고 보는 국민들이 적지 않다.
kimhj@seoul.co.kr
2013-12-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