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구 논설위원
정부 중앙부처나 지방 자치단체들 또한 마찬가지다. 더구나 올 연말은 내년 6월로 예정된 지방선거와 맞물려 자치단체의 정기인사는 그 어느 해보다 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 자치단체의 경우 인사의 폭뿐만이 아니라 내용 면에서도 큰 변화가 있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본청 과장, 국장이 외곽조직으로 이동하는 등 소위 평소 잘나간다고 알려진 인물이 한직으로 밀려나기도 하는 게 이맘때 자치단체 인사의 큰 특징이다. 선거를 치러야 하기 때문이다. 단체장 입장에서는 믿을 수 있고 자신의 선거에 도움이 될 만한 인물을 자리에 배치하고 싶어진다. 최근 불거진 서귀포시장의 실언 사건도 이와 맥을 같이한다. 능력보다 충성도가 우선시되는 때이다. 서울의 한 구청장은 “선거가 가까워지면 믿을 만한 직원들을 골라 대민업무 부서에 배치해 많은 주민들을 만나게 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털어놨다. 그동안 펼쳐 왔던 정책들이 주민들에게 제대로 홍보되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민선 이후 계속돼 온 이런 형태의 인사에 자치단체 공무원들은 익숙해져 있다. 단체장과 의기투합이 잘된 공무원은 조직 내에서 승승장구하기 쉽다.
반면 단체장의 이런 인사에 불만을 갖는 공무원들 또한 많다. “단체장을 위해 열심히 일했는데, 돌아오는 것은 배신뿐”이라며 인사에 불만을 표시하는 공무원들도 적지 않다. 시쳇말로 ‘팽(烹)됐다’는 말이 가장 많이 오가는 것도 이맘때이다. 아마 ‘토사구팽’(兎死狗烹)은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등과 함께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고사성어가 아닐까 여겨진다.
인사에 불만을 느낀 공무원이 할 수 있는 일 가운데 가장 흔한 게 딴 줄서기다. 차기 단체장 후보자로 거론되는 인물들에게 먼저 줄을 대는 것이다. 지연, 학연이 동원되면서 유력한 줄을 잡으면 상처입은 마음을 쉽게 보상받을 수도 있다. 물론 차기 선거에서 이겨야 뜻을 이루겠지만 우선 믿는 구석이 생겨 마음이 놓인다. 주변 동료도 자신과 비슷한 생각이란 것을 알면 더욱 대담해진다. 불만 표출뿐만 아니라 현 단체장을 은밀히 견제하려 든다. 인의 장막이 되고, 돈줄을 막는 게 이에 해당한다.
실제 최근 자치단체들마다 내년도 예산 편성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이런 일들이 곳곳에서 감지됐다. 선거를 코앞에 둔 단체장 입장에서는 복지분야를 비롯해 행정홍보 등에 많은 예산을 편성하고 싶어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일부 실무진은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단체장의 이런 마음을 외면하려 한다. 자연히 단체장과 직업 공무원들 사이에 때아닌 긴장감이 고조된다. 단체장은 부하 공무원을, 공무원은 단체장을 서로 믿지 않으려 한다. 자치단체에 4년마다 찾아오는 ‘배신의 계절’인 셈이다.
배신은 언제나 당했다는 사람의 목소리만 있을 뿐 배신했다는 말은 듣기 어렵다. 명분으로 포장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신의 주체는 언제나 조직, 시장(市場)과 여론의 몫이 된다. 단체장과 공무원들은 항상 주민(유권자)의 뜻을 살펴야 하는 이유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더 큰 배신감을 느끼지 않으려면….
yidonggu@seoul.co.kr
2013-12-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