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 58명, 교육감 81명, 기초단체장 789명 등 이번 선거 출마자가 1만 20명으로 집계됐다. 평균 경쟁률 2.5대1이다. 1인8표이니 유권자가 투표장에서 평균 20명의 후보자 이름을 접하게 된다. 광역단체장이라면 좀 알까, 기초의원과 교육의원들까지 모두 기억하기 힘들 수 있다. 소속 정당만 보고 표를 주는 경우도 생길 것이다.
선거 때 언론의 기본적 임무는 정보 전달이다. 이번 선거처럼 필요한 정보가 많이 요구될 때 그 중요성은 더하다. 그런데 요즘 언론에 비상이 걸렸다. 천안함이 장기간 주요 어젠다로 보도되면서 선거 보도가 위축됐다. 임박한 월드컵은 선거에 필요한 국민적 관심을 모으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선거보도에서 늘 지적되는 것이 사건 중심, 경마 보도식, 스포츠 중계식, 불공정 보도이다. 앞선 서울신문 옴부즈맨 칼럼(4월20일 자)도 이런 부분을 짚었다. 필자도 이에 십분 공감하면서, 앞으로 있을 선거보도에 제언하는 방식으로 글을 써보고자 한다. 필자는 이번 선거보도의 일차적 목표를 ‘효율적 정보 전달’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유권자들이 20일 남짓한 기간 동안 최대한 많은 학습을 하고 투표장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위에서 지적된 선거 보도의 고질적 문제들이 짧은 기간 동안 고쳐지긴 어렵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차라리 정보 전달이라는 기본 임무에 충실하자는 것이다. 게다가 요즘은 언론의 정보 전달이 인터넷, 트위터, 스마트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손쉬워진 상황이다.
그렇다면 정보 전달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 것인가. 우선 정밀 저널리즘(precision journalism)과 컴퓨터 활용 보도(Computer Assisted Reporting)를 제안하고 싶다. 많은 양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전체적 그림을 그려주는 방식이다. 이번 선거에도 모든 후보자의 정보와 각종 여론조사 자료들이 발표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실업 문제에 대한 후보자들의 정책적 유형을 표로 정리해 주거나, 사회관계망 분석을 통해 상호 유사성을 그림으로 보여주는 방식이다. 유권자들이 선거 상황을 빨리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또 하나는 정보의 초점을 지역에 맞추는 것이다. 유권자들의 관심사는 수도권 ‘트로이카’(14일 자 8면)가 아니라 자기 동네 후보자들에 있다. 신문의 지역판이 차별화되어야 하며, 인터넷판을 통해 후보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가능하도록 제공해야 한다. 단순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링크 이상이어야 한다. 또 지역별 유권자의 관심 현안을 분석해 해당 후보자들의 공약과 비교해 주는 서비스도 필요하다.
선거에 임하는 정치권은 이번에도 새로움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후보자 가운데 병역미필이 14%, 전과 보유가 12%에 이른다. 여야는 서로 현정권과 과거 노무현 정권을 심판하겠다며 국민적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매니페스토(manifesto, 수치·재원·일정 등이 포함된 구체적 공약) 실천 협약식을 갖는다는 후보는 많지만, 그에 걸맞은 공약 제시는 보기 힘들다. 언론 역시 그동안 경마식 보도와 정파성으로 국민의 정치적 무관심을 초래했다. 정치권과 언론 어느 쪽에도 변화가 없다면, 이번 선거에도 투표율은 낮을 것이며 대의민주주의의 위기는 계속될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가능한 선에서 언론의 변화를 제안해 본 것이다.
의제 설정과 방향 제시는 언론의 중요한 기능이다. 하지만 과거 선거 보도에서 신뢰를 잃은 언론이 방향을 설정하는 데 대해 유권자들의 반응이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이번만큼은 힘을 빼고, 효율적 정보 전달에 최선을 다하는 게 어떨까. 지명도 있는 후보 위주로 선택을 강요하기보다 다양한 후보의 지역 관련 정책들을 비교 제시해 주는 것이다. 충분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유권자들의 투표장 내 고민을 없애 주자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서울신문의 지자체 현안 발굴 기획(‘이런 지자체 꿈꿔요’ 시리즈)은 의미있는 출발이었다. 본격적인 선거보도에서 더 분발하길 기대한다.
이종혁 경희대 언론정보학 교수
선거보도에서 늘 지적되는 것이 사건 중심, 경마 보도식, 스포츠 중계식, 불공정 보도이다. 앞선 서울신문 옴부즈맨 칼럼(4월20일 자)도 이런 부분을 짚었다. 필자도 이에 십분 공감하면서, 앞으로 있을 선거보도에 제언하는 방식으로 글을 써보고자 한다. 필자는 이번 선거보도의 일차적 목표를 ‘효율적 정보 전달’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유권자들이 20일 남짓한 기간 동안 최대한 많은 학습을 하고 투표장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위에서 지적된 선거 보도의 고질적 문제들이 짧은 기간 동안 고쳐지긴 어렵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차라리 정보 전달이라는 기본 임무에 충실하자는 것이다. 게다가 요즘은 언론의 정보 전달이 인터넷, 트위터, 스마트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손쉬워진 상황이다.
그렇다면 정보 전달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 것인가. 우선 정밀 저널리즘(precision journalism)과 컴퓨터 활용 보도(Computer Assisted Reporting)를 제안하고 싶다. 많은 양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전체적 그림을 그려주는 방식이다. 이번 선거에도 모든 후보자의 정보와 각종 여론조사 자료들이 발표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실업 문제에 대한 후보자들의 정책적 유형을 표로 정리해 주거나, 사회관계망 분석을 통해 상호 유사성을 그림으로 보여주는 방식이다. 유권자들이 선거 상황을 빨리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또 하나는 정보의 초점을 지역에 맞추는 것이다. 유권자들의 관심사는 수도권 ‘트로이카’(14일 자 8면)가 아니라 자기 동네 후보자들에 있다. 신문의 지역판이 차별화되어야 하며, 인터넷판을 통해 후보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가능하도록 제공해야 한다. 단순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링크 이상이어야 한다. 또 지역별 유권자의 관심 현안을 분석해 해당 후보자들의 공약과 비교해 주는 서비스도 필요하다.
선거에 임하는 정치권은 이번에도 새로움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후보자 가운데 병역미필이 14%, 전과 보유가 12%에 이른다. 여야는 서로 현정권과 과거 노무현 정권을 심판하겠다며 국민적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매니페스토(manifesto, 수치·재원·일정 등이 포함된 구체적 공약) 실천 협약식을 갖는다는 후보는 많지만, 그에 걸맞은 공약 제시는 보기 힘들다. 언론 역시 그동안 경마식 보도와 정파성으로 국민의 정치적 무관심을 초래했다. 정치권과 언론 어느 쪽에도 변화가 없다면, 이번 선거에도 투표율은 낮을 것이며 대의민주주의의 위기는 계속될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가능한 선에서 언론의 변화를 제안해 본 것이다.
의제 설정과 방향 제시는 언론의 중요한 기능이다. 하지만 과거 선거 보도에서 신뢰를 잃은 언론이 방향을 설정하는 데 대해 유권자들의 반응이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이번만큼은 힘을 빼고, 효율적 정보 전달에 최선을 다하는 게 어떨까. 지명도 있는 후보 위주로 선택을 강요하기보다 다양한 후보의 지역 관련 정책들을 비교 제시해 주는 것이다. 충분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유권자들의 투표장 내 고민을 없애 주자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서울신문의 지자체 현안 발굴 기획(‘이런 지자체 꿈꿔요’ 시리즈)은 의미있는 출발이었다. 본격적인 선거보도에서 더 분발하길 기대한다.
2010-05-1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