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물가 보도를 보면 신문과 뉴스 독자의 관계에 대해 많은 점을 생각하게 한다. 2000년 이후 등장한 페이스북, 트위터, 마이스페이스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NS)의 인기가 대단하다. 더구나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휴대용 단말기 보급으로 독자들은 뉴스를 종이신문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이들은 휴대용 단말기로 SNS를 이용하고 이 과정에서 뉴스를 접하며 관심 있는 뉴스는 지인들과 공유한다. 심지어, 하루의 중요한 뉴스를 독자들이 직접 결정하는 사이트(digg.com)까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들 독자를 지칭하는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s)이란 말까지 생겼다.
이런 배경을 생각하면, 정부발표 자료에 의존한 물가보도는 디지털 원주민의 흥미를 끌기 어렵다. 뉴스의 속성이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강의방식에서 대화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기자는 기사를 작성하고 독자는 이를 소비하는 뉴스환경은 SNS가 없던 시대의 모습으로, 2011년 현재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뉴스는 기자의 입장이 아니라 독자의 입장에서 느끼고 소비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의 물가보도는 통계청의 수치화된 자료와 정부부처의 대응책, 전문가 분석만 담아서는 안 된다. 독자들이 실제생활에서 느끼는 물가와 그들의 반응을 담아야 한다. 기사 제작에 창의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한 방법이다. 창의적이라는 게 거창한 것은 아니다. 독자와 대화하려면 독자를 뉴스 제작에 참여시키자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이라고 한다. 이는 기사화할 현안에 대해 경험이 있는 독자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다. 가정주부, 대학생, 회사원, 전문가 등 다양한 독자들이 기삿거리에 대한 의견과 정보를 제공하고 신문은 이를 토대로 기사를 제작한다. 이 과정이 원활하려면, 신문은 의견을 구할 독자명단을 갖고 있어야 한다. 기사 의견을 구한다는 신문광고는 별로 효과가 없을 것이다.
독자와의 대화를 위한 다른 방법은 기사의 의미를 독자 개개인의 처지에서 접하고 해석하며 공감하게 하는 것이다. 주유소 기름 값 보도의 경우, 독자가 거주지 주유소의 기름 값을 확인하고 이를 다른 지역 주유소와 비교하는 뉴스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다. 생필품 가격 기사에 독자 거주지 인근의 대형마트와 재래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을 독자가 비교하고 판단하게 내용을 담는다. 이 같은 뉴스생산방식은 인터넷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다. 재미있게도, 뉴욕타임스 등 상당수 국외 신문사들이 독자가 직접 즐기는 뉴스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포털사이트와 SNS의 인기로 종이신문의 구독률이 하락하지만, 당분간 종이신문 자체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정보를 독자에게 전달만 하는 기사방식은 사라져야 할 것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독자와 끊임없이 대화하는 게 중요하다. 서울신문 독자가 다른 신문 독자와는 다르기에 더욱 그렇다. 다른 신문에는 없고 서울신문에서만 느낄 수 있는 기사는 독자의 시선을 잡을 것이다. 이런 기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는 기자 혼자만 고민하지 말고, SNS의 장점을 활용해 독자들과 함께하는 게 필요하다.
어찌 보면 당연한 이 제안이 생각보다 쉽지 않을 수도 있다. 다양한 독자층만큼 제보되는 의견과 정보의 신뢰성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일방적인 자기주장이나 허위정보도 있고 뉴스가치가 없는 의견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독자에 대한 관심과 전담인력이 있다면 이는 충분히 걸러질 수 있다. 기자들이 사건취재에 앞서, 뉴스가 될 것과 그러지 않을 것을 결정하지 않는가.
2011-03-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