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호 새벽을 열며] 화성행궁 여름 시인학교 사람들

[최동호 새벽을 열며] 화성행궁 여름 시인학교 사람들

입력 2013-08-26 00:00
수정 2013-08-26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더위의 끝을 알 수 없을 만큼 길고 지루한 여름이 꼬리를 놓지 않고 있다. 장마와 폭염이 끈질기게 반복되는 올해 여름은 100년 만에 처음이라고 할 정도로 지내기 어렵다. 이 여름 더위보다 더 뜨겁게 한국인의 열정이 타오른 곳이 있다. 화성행궁 여름 시인학교다.

이미지 확대
최동호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시인
최동호 고려대 국문학과 교수·시인
올해 처음 시작된 이 행사에는 전국 각지에서 110여명이 모여들었으며, 각계각층이 포함돼 있어 주목할 만했다. 당당히 참가비를 내고 자발적으로 신청한 열의가 대단했는데, 그들은 대부분 무명의 신인이나 문학 지망생들이었다. 한국은 시인의 나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공식적으로 등단한 시인이 아주 많아 시인이 넘쳐난다고 말한다. 아직도 시를 통해 자기를 표현해 보고 싶은 열망을 지닌 잠재적 인구가 많다는 점은 놀라운 일이다.

어떤 수강생은 화성행궁에 놀러 왔다가 이런 행사가 있다는 플래카드를 보고 일정을 바꾸어 참여하게 됐다고 했다. 다른 수강생은 어린아이가 여름캠프에 참가하는 사이 겨를을 내어 오게 됐다고 했으며, 행궁동의 한 사주 카페 주인은 가게 문에 메모를 써 놓고 참여했다고 했다. 한 음식점 주인은 남들이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지 않아 능력을 한 번 평가받고 싶다고 했다. 시장에서 장사를 하지만 일을 끝내고 나면 자기도 모르게 발길이 갤러리나 문학 강의실로 향하게 된다는 한 아주머니의 고백은 모든 이의 가슴을 울컥하게 했다. 이제 막 등단한 신진 시인은 물론 명퇴한 수학 교사, 전직 성우, 시낭송가도 있었다. 수강생들의 표정은 마치 초등학교에 막 들어가 설렘을 감추지 못하는 아이들처럼 긴장되고 흥분된 것이었다.

오세영·이기철 교수의 특강에 이어 삼삼오오 행궁동 거리를 걷는 이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한국인의 가슴속에 살아 있는 예술에 대한 강렬한 꿈과 자기 성취를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었다. 저녁이 되어 백일장의 시제가 발표되고 조별 재능대회가 시작됐다. 사회자가 멈추라고 하지 않으면 끝낼 수 없는 별난 장기가 발표됐다. 소박하고 자연스럽고, 때로는 어색하고 촌스러운 장기 자랑이 더욱 인간적으로 느껴져 발표자와 관객이 한 덩어리가 됐다. 그런데 마무리를 하려고 하는 순간 긴급 제안이 들어왔다. 나이가 이제 여든이 되어 다시 이런 행사에 올 수 없을 것 같아 꼭 발표해 보고 싶다고 했다. 박수갈채를 받고 나온 할머니는 자신이 쓴 ‘팔달산’이란 시를 낭송했다. 필생의 작품이 주는 공감으로 모두 뜨거운 박수를 쳤다.

생각해 보면 모든 문화적 발전의 뿌리는 여기서 비롯된다. 개개인이 자신의 존재를 표현하고 그것을 통해 기쁨을 느낀다면 이보다 중요한 일이 어디 있겠는가. 수원 화성행궁은 삼백년 전 정조대왕이 인문학에 대한 원대한 꿈을 실현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인문학에 토대를 두지 않은 과학 발전은 있을 수 없다. 설혹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인간을 위한 것이 아니다. 문화의 융성이라는 것도 위에서 아래로 하달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에서 위로 상향식으로 파급되고 전파된 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힘이 역사를 전환하는 역동성을 발휘한다.

지금 우리의 발밑에서는 분명히 역사적 전환의 기운이 태동하고 있다. 그 에너지를 끌어올려 어떻게 활용하고 발전시키느냐에 따라 국운이 좌우될 것이다. 탁상공론이 아니라 밑에서 솟아오르는 동력을 창조적 에너지로 승화시키는 대통합의 지도자가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한국인은 역동적이고 시적이며 창조적인 민족이다. 전자산업은 어느 나라, 민족보다 잘 개척해 세계의 선두가 된 분야이고 자동차·조선 산업은 물론 생명과학 분야도 한국인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분야다. 미시적인 것에서 시작해 거대 담론으로 구축되는 첨단 산업 분야의 미래를 생각하며 여름 시인학교 사람들의 인간적인 얼굴들을 돌이켜 본다. ‘이번 여름은 위대했노라’고 무더운 여름을 이겨 낸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싶다.

2013-08-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