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현진 베이징 특파원
지난 13일 폐막한 양회(兩會,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전국인민대표대회) 기간에도 옹정과 시진핑의 닮은꼴 이야기는 화제가 됐다. 당시 전인대 대표위원인 ‘옹정황제’의 작가 얼웨허(二月河)도 내외신 기자들과 만나 시 주석을 반부패와 개혁의 대명사인 옹정에 비유하며 시 주석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시진핑을 옹정에 비유하는 이유는 이렇다.
우선 ‘부패와의 전쟁’을 주도하는 모양새가 닮았다.
옹정은 즉위 3일 만에 부패한 고위 관료 30여명을 단숨에 척결하고 뇌물수수 관행을 없애는 등 부패 근절에 총력을 쏟은 군주로 유명하다. ‘옹정 시절 청렴하지 않은 관료가 없었다’(雍正一朝, 無官不淸)는 말은 지금도 회자하는데 그의 반부패 조치로 청의 치국 근간이 세워졌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시 주석도 취임 직후 ‘파리부터 호랑이까지 때려잡겠다”며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중국 사회과학원에 따르면 시 주석 취임 첫해인 지난해 부패 등으로 처벌된 고위관료 숫자가 지난 25년간 평균치의 5배가 넘는다. 신중국 건립 이래 최고 지도부 출신으로 첫 사법 심판을 받게 될 저우융캉(周永康) 전 상무위원 케이스는 반부패에 대한 시 주석의 의지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독재적 권력을 추구하는 모습도 비슷하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통솔할 중국판 국가안보회의(NSC)인 국가안전위원회를, 옹정이 군사와 정무를 모두 처리하기 위해 설립한 통치기구인 군기처(軍機處)에 비유한다. 시 주석은 국가안전위뿐만 아니라 전면개혁심화영도소조, 중앙인터넷안전정보화영도소조 등 3대 권력 기구를 만들어 국방·외교·치안·경제·테러·인터넷 등 전 분야를 장악해 덩샤오핑(鄧小平) 이래 최대 권력을 거머쥔 지도자가 됐다는 평이다.
이 밖에 옹정이 음식을 남기는 자는 곤장 40대로 처벌했다는 이야기처럼 시 주석은 총서기 취임 이후 ‘잔반 제로 캠페인’(光盤行動)을 벌이며 공무원 사회에 근검절약 기풍을 강조하는 등 여러모로 닮은 점이 많다.
그러나 무엇보다 시진핑을 옹정에 비유하는 것은 중국 사회가 느끼는 위기의식과 관련이 깊다.
덩샤오핑이 개혁·개방을 시작하던 시절에는 ‘강물 속 돌을 손으로 만지며 얕은 내를 건너는’(摸着石頭過河) 수준의 개혁으로도 족했다. 그러나 지금은 중국의 굴기를 억제하는 미국에 맞서고 일본 등 주변국들과의 충돌을 해결해야 하는 것은 물론 빈발하는 국내 테러에도 대응해야 한다.
극심한 빈부격차와 일상화된 부패로 인한 국민 불만은 ‘중국 붕괴론’까지 낳고 있다. 옹정의 강한 개혁 이후 건륭(乾隆)황제 시대의 태평천하가 열릴 수 있었듯 시진핑의 국정운영이 위기에 놓인 중국의 운명을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옹정은 냉혈적이고 독단적이었으나 과로사했을 만큼 철저한 헌신을 통해 청나라 번영의 토대를 만들었다. 시 주석이 언제까지 옹정에 비유될지 지켜볼 일이다.
jhi@seoul.co.kr
2014-03-1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