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의 참혹했던 내전 펠로폰네소스 전쟁(BC 431~404)은 아테네가 스파르타에 항복하면서 끝이 났다. 화려한 문화예술을 꽃피우고 풍요로운 경제를 누리던 아테네의 굴복은 그리스 역사에서 가장 놀라운 사건이었다. 민주정의 타락과 훌륭한 지도자의 부재가 원인이었다. 아테네의 저술가 크세노폰(BC 430?~355?)의 역사서 ‘헬레니카’(Hellenika)는 당시의 정황을 전한다.
아테네인들에게 국가의 재건과 혁신이 절실했다. 그런데 과두파 혁명이 스파르타 괴뢰정권의 등장을 불렀다. 30인 참주정권이 그것이다. 이들의 우두머리인 크리티아스(BC 460~403)는 스파르타의 효율적인 과두정체를 본받아 아테네의 혁신을 꿈꾼 것 같다. 그러나 그는 스파르타 수비대장의 환심을 산 후 그의 힘을 등에 업고 온갖 못된 짓을 저질렀다.
그나마 혁명의 광풍 속에 의인 한 사람이 있었다. 크리티아스가 민중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들을 닥치는 대로 죽이고 무고한 사람들의 재산을 마음대로 몰수하자 30인 참주 중 한 사람인 테라메네스가 이를 불법한 일이라며 제지하려 했다. 그러나 크리티아스는 아테네를 확실하게 지배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을 가장 크게 방해할 수 있는 사람들을 없앨 수밖에 없다”고 반박하며 과두파를 옹호했다.
게다가 그는 내친김에 모든 시민의 평등한 공무담임권을 폐지하고, 자신들에게 동조하는 시민 3000명만 골라 지명하여 공공 행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테라메네스는 이를 개탄했다. “여러분은 통치를 폭력적으로 만들고 동시에 피지배자들보다 그것을 더 약화시키고 있소.” 그는 참주 정권이 입맛에 맞는 3000명만을 골라 만든 집단은 대표성이 없을뿐더러 훌륭한 사람들을 배제하여 시민들의 반목과 분열만 더 부추길 수 있다고 본 것이리라.
30인 참주들은 3000명의 광장의 힘을 악용했다. 그는 자신들을 추종하는 이들의 생명과 재산은 확실히 보장하면서 이들의 민심을 등에 업고 원한이나 돈 문제로 많은 사람을 마음대로 죽였다. 결국 크리티아스는 테라메네스마저 과두정을 반대하는 배신자로 몰아 처형했다. 전횡을 저지르던 30인 참주정은 1년도 못 가 민주파의 반란과 숨죽이며 침묵하던 대다수 민중의 궐기로 무너졌다.
나라가 혼란에 빠지면 온갖 야심가들이 판을 친다. 동조하는 세력과 민중의 힘을 규합하고 악용하려는 획책이 난무한다. 요즘 분노만 넘칠 뿐 의인은 보이지 않는다. 적폐의 일소와 혁신을 명분 삼은 ‘국가 대개조’나 ‘국가 대청소’가 자칫 또 다른 한풀이로 흘러 국민에게 분열과 갈등의 씨앗을 뿌리지 않을까 걱정이다. 또 편을 가르고 질책과 조언하는 이들을 배척하면 사회통합과 타협은 갈수록 멀어진다.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그나마 혁명의 광풍 속에 의인 한 사람이 있었다. 크리티아스가 민중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들을 닥치는 대로 죽이고 무고한 사람들의 재산을 마음대로 몰수하자 30인 참주 중 한 사람인 테라메네스가 이를 불법한 일이라며 제지하려 했다. 그러나 크리티아스는 아테네를 확실하게 지배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을 가장 크게 방해할 수 있는 사람들을 없앨 수밖에 없다”고 반박하며 과두파를 옹호했다.
게다가 그는 내친김에 모든 시민의 평등한 공무담임권을 폐지하고, 자신들에게 동조하는 시민 3000명만 골라 지명하여 공공 행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테라메네스는 이를 개탄했다. “여러분은 통치를 폭력적으로 만들고 동시에 피지배자들보다 그것을 더 약화시키고 있소.” 그는 참주 정권이 입맛에 맞는 3000명만을 골라 만든 집단은 대표성이 없을뿐더러 훌륭한 사람들을 배제하여 시민들의 반목과 분열만 더 부추길 수 있다고 본 것이리라.
30인 참주들은 3000명의 광장의 힘을 악용했다. 그는 자신들을 추종하는 이들의 생명과 재산은 확실히 보장하면서 이들의 민심을 등에 업고 원한이나 돈 문제로 많은 사람을 마음대로 죽였다. 결국 크리티아스는 테라메네스마저 과두정을 반대하는 배신자로 몰아 처형했다. 전횡을 저지르던 30인 참주정은 1년도 못 가 민주파의 반란과 숨죽이며 침묵하던 대다수 민중의 궐기로 무너졌다.
나라가 혼란에 빠지면 온갖 야심가들이 판을 친다. 동조하는 세력과 민중의 힘을 규합하고 악용하려는 획책이 난무한다. 요즘 분노만 넘칠 뿐 의인은 보이지 않는다. 적폐의 일소와 혁신을 명분 삼은 ‘국가 대개조’나 ‘국가 대청소’가 자칫 또 다른 한풀이로 흘러 국민에게 분열과 갈등의 씨앗을 뿌리지 않을까 걱정이다. 또 편을 가르고 질책과 조언하는 이들을 배척하면 사회통합과 타협은 갈수록 멀어진다.
2017-01-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