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0월, 대전
그는 한학자 위당(爲堂) 정인보(1893~1950)와는 어려서부터 친구였다. 한 살 차이로도 선후배 가르기 좋아하는 요즘 세태와 달리 이 시절에는 다섯 살 차이쯤은 전혀 문제가 안 됐다. 수주는 위당 집을 출입하면서 위당의 부친과도 자주 만났는데, 위당은 부친에 대한 효심이 지극했다.
수주의 20대 후반 시절 이야기다. 위당의 부친은 술은 좋아하는데 술벗은 많지 않아 늘 적적했다. 위당이 이를 안타깝게 여겼으나, 자식 된 도리에 늙은 아버지와 함께 술집을 다닐 수는 없었다. 게다가 위당은 술을 좋아하지 않는 샌님 타입이었다. 그래서 한 번은 “여보게 수주, 오늘 우리 아버지를 모시고 술집에 좀 가 주게”라고 부탁했다. 이를테면 친구더러 효심을 대행하여 달라는 안타까운 주문이었다.
수주는 거절하려 했으나 친구의 효심을 생각해 기꺼이 승낙한다. 부친을 술집으로 모시고 가준다니 위당도 기뻐했지만, 노인은 더더욱 희색이 만면해 “수주, 허, 수주”를 연발하셨다. 그러나 수주에게는 이 일이 썩 즐겁지만은 않았다. 일종의 봉사요, 책임감으로 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발걸음이 그다지 가볍지 않았다.
맨 처음 간 곳은 동대문 밖 주점이었다. 상상해 보라. 70대 노인과 30세도 안 된 청년이 대작하는 장면을. 술집의 다른 손님들도 의아한 눈으로 쳐다보았다. 술 좋아하는 수주였지만 음주가 즐거움이 아니라 고행이었다. 그러나 크게 기뻐하시는 노인을 댁까지 모셔다 드리고 집으로 돌아오니 “내 오늘 좋은 일을 하였구나” 하는 만족감도 들었다. 그 후로도 수주는 여러 차례 이 술집 저 술집 옮겨 다니며 효도를 대행했다.
깊어 가는 가을, 소주병을 잔뜩 쌓아 두고 잠시 낮잠을 즐기는 이 어른에게는 대작해 드릴 아들 친구가 없었던 걸까.
우석대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2019-10-02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