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름만큼 사연도 많은 게 다랑논이다. 가난한 백성들이 눈물로 일군 논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가을 들녘에 서면 빛바랜 그림 하나가 그 위에 겹쳐진다. 내가 살던 마을에도 다랑논이 있었다.
바우영감이 마을을 찾아든 것은 내가 코흘리개를 겨우 면했을 무렵이었다. 초로의 사내가 보따리 두어 개 얹은 지게를 지고 앞장서고, 다리를 저는 젊은 아낙과 사내아이 하나가 종종걸음으로 따라 걸었다. 그 낯선 일가는 약속이라도 하고 온 듯 곧장 장부자네 집으로 향했다. 그날부터 그들은 장부자네 행랑채에서 살림을 차렸다.
사람들은 그를 바우 혹은 바우영감이라고 불렀다. 그는 듣지도 말을 하지도 못했고 젊은 아내는 다리를 심하게 절었다. 그렇지만 그들은 누구보다 열심히 일했다. 그들이 쉬는 걸 보는 건 나무에서 물고기를 따는 것보다 더 어려웠다. 찔레 순처럼 여리게 생긴 아이도 꼴머슴 몫을 제법 해냈다.
딱히 바우영감 덕이라고 못 박기는 어렵겠지만 장부자네 논밭은 갈수록 늘어났다. 장죽을 물고 논둑을 걷는 장부자의 입은 늘 귀 밑에 걸려 있었다. 소문은 바우영감네 일가가 동네에 들어온 지 몇 년 뒤 시작됐다. 바우영감이 용골 들머리에 있는 장부자네 산자락을 파헤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용골은 나무꾼 외에는 잘 다니지 않는 외진 곳이었다. 소문은 곧 사실로 확인됐다.
바우영감이 파헤치는 곳은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산자락이었다. 산을 파헤친 뒤에는 돌로 둑을 쌓아 올렸다. 그러면 제법 널찍한 ‘계단’이 만들어졌다. 그 계단이 작은 논이라는 것을 알게 된 건 시간이 꽤 지난 뒤였다.
어른들은 그걸 다랭이논이라고 불렀다. 바우영감이 논을 만들게 된 뒷얘기도 입을 타고 전해졌다. 장부자 집에서 머슴살이를 시작하고 1년쯤 지났을 때 간곡하게 요청했다는 것이었다. 새경을 받지 않을 테니, 몇 년이 걸려도 땅값만큼만 되면 용골 산자락을 떼어 달라고.
어차피 버리다시피 한 땅이니 장부자로서는 손해 볼 게 없는 거래였다.
다랑논을 만드는 건 보통 일이 아니었다. 위로 올라갈수록 난공사였다. 둑은 바윗덩이만큼 큰 것부터 작은 돌 순으로 쌓아 올라가는데, 얼마나 촘촘한지 그야말로 ‘물 샐 틈’ 하나 없어 보였다. 작업은 계절이 몇 번 바뀌어도 계속될 만큼 느리게 진행됐다. 제법 꼴을 갖춘 논들이 태어난 건 몇 해가 지난 뒤였다.
그 논에 첫 모를 내던 봄 바우영감네는 용골에 움막 같은 집을 짓고 이사를 했다. 그해 가을 벼가 고개를 숙인 어느 날, 동네 사람들은 낫을 하나씩 들고 용골로 갔다. 반은 벼를 베고 반은 논두렁에 앉아 놀았지만, 추수는 순식간에 끝났다.
막걸리 한 잔씩이 돌아갔을 무렵 바우영감은 끝내 볏단을 끌어안고 울음을 터트렸다. 그 소리 없는 통곡에 그의 아내도 울었고 아들도 울었고 동네 사람들도 울었다.
지금도 산촌을 돌아다니다 보면 곳곳에서 다랑논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다랑논은 산으로 돌아간 지 오래다. 풀과 잡목으로 뒤덮여 한때 논이었다는 사실조차 확인하기 어렵다. 농사지을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기름졌던 들판의 논들도 묵정논으로 바뀌는 마당에 다랑논까지 챙길 겨를이 어디 있을까. 다랑논을 만들던 시절의 이야기는 아득한 전설이 된 지 오래다.
2019-09-1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