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더불어 시인들은 모어에 대한 애착을 통해 자신들의 시 쓰기가 불가피한 존재론적 사건이자 작업임을 고백하고 있다. 이는 이민 생활을 관통하면서 존재하는, 양도할 수 없는 자신들만의 고유한 삶의 방식일 것이다. 물론 그 안에는 자신이 살아온 오랜 세월에 대한 그리움도 가로놓여 있을 것이다. 이처럼 그동안 쌓아 온 재미시협의 성취는 현실과 꿈 사이에서, 모국과 이국 사이에서, 기원(origin)과 현재형 사이에서 자신을 가능케 했던 모어에 대한 사랑의 힘을 거듭 확인하게 했을 것이다.
미국에서 한국문학 단체가 처음 설립된 것은 1982년 9월 미주한국문인협회가 신호탄이 됐다. 그로부터 현재에 이르면서 한국인 문학 단체는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러던 중 뜻하지 않게 ‘재미시인협회’와 ‘미주시인협회’가 나뉘는 아픔을 겪었지만, 최근 다시 통합돼 이번에 뜻깊은 행사를 치른 것이다. 조옥동 재미시협 회장은 “많은 시인이 동참하여 시밭을 드넓고 아름답게 펼쳐 나갈 사명”을 확인해 가겠다고 말했고, 행사에 참여한 김낙중 LA 한국문화원장도 한국의 예술과 역사를 알리는 공동 목표를 한국문화원과 재미시협이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격려했다. 현재 계간으로 발행하고 있는 재미시협 기관지 ‘외지’(外地)는 이러한 성과를 앞으로도 담아 갈 것인데, 이러한 이들의 활동에 문화체육관광부 등에서 더욱 많은 후원이 있기를 희망해 본다.
오래전 한 방송 프로그램을 진행하던 아나운서는 ‘해외동포 여러분!’을 꼭 인사말 앞에 넣었다. 그 ‘해외동포 여러분’은 여전히 모어의 동질성을 유지하면서 언어 공동체를 자신의 존재론적 원천으로 상상해 가고 있다. 물론 트랜스내셔널 시대를 가로지르는 디아스포라 경험을 한국문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것은 첨예한 쟁점을 안고 있는 문제이지만, 여기서 우리는 이들의 문학적 성취를 한국문학의 중요한 심층으로 바라보아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여전히 한반도 바깥에서 펼쳐지는 중국 조선족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문학, 미주문학 등은 한국문학의 소중한 외연이자 ‘이민문학’이라는 특수성이 집약된 결실일 것이다. 어쩌면 시간이 갈수록 모어로 글을 쓰고 작품집을 내면서 자신의 경계적 정체성을 사유해 가는 그들의 숫자는 줄어들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이민문학의 코어에서 더욱 창작에 진력하는 분들이 많이 나오고, 그분들의 경험과 기억이 국내 문단에도 매우 중요한 ‘타자의 거울’이 되기를, 그리고 이민문학을 해가는 분들도 국내 문단에의 종속성을 한결 덜어 내면서 자신들만의 오롯한 특수성을 개척해 가기를 마음 깊이 바란다. 이번 행사는 그 점에서 한국 이민문학의 뚜렷한 역사적 표지(標識)가 돼줄 것이다. 그렇게 이국에서 길어 올린 모어 사랑 30년이 속절없이 흘러갔지만, 이들의 ‘외지’에서의 시 쓰기는 지속될 테니까 말이다.
2017-08-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