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어제 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초심을 잃지 않고 할 일을 하겠다.”며 사의를 거둬들였다. 정 위원장은 사의 철회 배경으로 “동반성장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다시 확인했고, 국민의 지지와 성원을 접했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지난달 23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동반성장 방안으로 초과이익공유제를 제시한 이후 이념논쟁을 불러일으키는 등 재계와 여권 일각으로부터 집중포화를 받았다. 여기에 분당을 보궐선거 전략공천 후보로 거론되면서 정 위원장의 거취문제는 또 다른 관심사로 부각됐다.
정 위원장도 누차 밝혔듯이 대·중소기업의 격차 심화는 우리 경제의 지속성과 사회통합에 경종을 울릴 정도로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이명박 대통령이 분란을 잠재우며 정 위원장에게 힘을 실어준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따라서 정 위원장은 초심으로 돌아가 동반성장지수 평점 발표와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등과 같은 당면 현안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본다. 초과이익공유제도 협력을 구해야 할 대기업들로부터 거센 반감을 사고 있는 만큼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대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상생과 협력을 기치로 내걸면서 대기업의 굴복만 강요해서야 되겠는가.
정 위원장은 자신의 거취를 둘러싼 최근의 논란이 오락가락한 행보와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애매한 행보로 갈등을 증폭시킨 측면이 다분히 있었다. 앞으로 동반성장 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시는 되풀이돼선 안 된다. 그래야만 초과이익공유제의 진정성도 인정받을 수 있다. 또 그것이 정 위원장의 사의 번복을 신정아의 자전 에세이 비화 공개와 연계짓는 시각을 불식시킬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정 위원장이 서울대 총장과 국무총리를 지낸 저명한 경제학자로서 우리의 미래를 위해 헌신해주기 바란다.
정 위원장도 누차 밝혔듯이 대·중소기업의 격차 심화는 우리 경제의 지속성과 사회통합에 경종을 울릴 정도로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이명박 대통령이 분란을 잠재우며 정 위원장에게 힘을 실어준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따라서 정 위원장은 초심으로 돌아가 동반성장지수 평점 발표와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등과 같은 당면 현안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본다. 초과이익공유제도 협력을 구해야 할 대기업들로부터 거센 반감을 사고 있는 만큼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대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상생과 협력을 기치로 내걸면서 대기업의 굴복만 강요해서야 되겠는가.
정 위원장은 자신의 거취를 둘러싼 최근의 논란이 오락가락한 행보와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애매한 행보로 갈등을 증폭시킨 측면이 다분히 있었다. 앞으로 동반성장 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시는 되풀이돼선 안 된다. 그래야만 초과이익공유제의 진정성도 인정받을 수 있다. 또 그것이 정 위원장의 사의 번복을 신정아의 자전 에세이 비화 공개와 연계짓는 시각을 불식시킬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정 위원장이 서울대 총장과 국무총리를 지낸 저명한 경제학자로서 우리의 미래를 위해 헌신해주기 바란다.
2011-03-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