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 들어 부쩍 잦아진 ‘중국발 회색 공습’이 예사롭지 않다. 봄철이면 겪는 황사 피해에 이어, 이젠 발암성 미세먼지가 한반도 하늘을 뒤덮고 있다. 기준치를 초과한 미세먼지는 지난해 3차례에 불과했으나 올해 들어 벌써 20여차례 발생했다. 날로 심각해지는 중국발 미세먼지 고통을 언제까지 감내해야 할지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한반도의 미세먼지 발생은 중국의 대기오염이 직접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지속된 오염 미세먼지는 중국의 겨울철 난방용 석탄 사용(전체의 70%)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서풍이 불면 한반도의 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44.5%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가 이를 증명한다. 베이징과 톈진 등 중국의 스모그 다발지역에서 올해 발생한 스모그 발생 일수는 52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물론 한반도 미세먼지의 급증이 중국 탓만은 아니다. 우리의 미세먼지 농도는 그동안 크게 줄었지만 아직도 독일, 일본 등 상당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두 배 수준이다.
미세먼지에는 질소산화물 등 발암성 물질이 포함돼 있어 직·간접적인 피해는 매우 크다. 지난 5일 발생한 미세먼지에선 발암성물질 농도가 평소의 6배를 넘었다고 한다. 시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다. 미세먼지는 폐질환은 물론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을 일으킨다. 서울에서 초미세먼지의 하루 평균농도가 10㎍/㎥ 증가하면 사망발생 위험이 0.44% 증가하고, 65세 이상 고령자의 심혈관 질환 사망위험은 1.75% 는다는 분석도 있다.
상황이 이러한 데도 우리의 대비책은 걸음마 수준이다. 내년 2월 ‘미세먼지예보제’가 전면 시행되지만 미세먼지 측정을 담당하는 국립환경과학원의 대처 수준은 아직 일천하기 그지없다. 환경과학원은 지난 4일과 5일의 미세먼지 농도를 ‘보통 수준’으로 예보했지만 반대로 심각한 수준을 보였다. 담당 인력의 부족으로 세세한 정보를 파악하고 제공하지 못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미세먼지에 어떤 유해한 성분이 얼마만큼 포함됐는지를 신속히 분석하라는 것은 언감생심이다. 환경부는 며칠 후 중국 스모그와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효율적인 대책은 정확한 조사 자료가 있어야 제대로 수립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중국과의 공동 대응책 마련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 우리 정부가 지난 5월 중국 측에 제안한 대기분야 정책대화는 중국의 미온적 태도로 6개월이 지나도록 진전이 없는 상태다. 마냥 기다릴 순 없는 노릇이다. 중국 측에 정보 제공을 끊임없이 요구해 최소한의 자료는 받아내야 한다. 우리는 1950년대 영국 런던에서 발생한 최악의 스모그사태로 1만 2000명이 사망한 사건을 기억한다. 한반도의 오염된 미세먼지가 이 같은 사고로 이어지지 말라는 법은 없다.
한반도의 미세먼지 발생은 중국의 대기오염이 직접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지속된 오염 미세먼지는 중국의 겨울철 난방용 석탄 사용(전체의 70%)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서풍이 불면 한반도의 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44.5%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가 이를 증명한다. 베이징과 톈진 등 중국의 스모그 다발지역에서 올해 발생한 스모그 발생 일수는 52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물론 한반도 미세먼지의 급증이 중국 탓만은 아니다. 우리의 미세먼지 농도는 그동안 크게 줄었지만 아직도 독일, 일본 등 상당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두 배 수준이다.
미세먼지에는 질소산화물 등 발암성 물질이 포함돼 있어 직·간접적인 피해는 매우 크다. 지난 5일 발생한 미세먼지에선 발암성물질 농도가 평소의 6배를 넘었다고 한다. 시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다. 미세먼지는 폐질환은 물론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을 일으킨다. 서울에서 초미세먼지의 하루 평균농도가 10㎍/㎥ 증가하면 사망발생 위험이 0.44% 증가하고, 65세 이상 고령자의 심혈관 질환 사망위험은 1.75% 는다는 분석도 있다.
상황이 이러한 데도 우리의 대비책은 걸음마 수준이다. 내년 2월 ‘미세먼지예보제’가 전면 시행되지만 미세먼지 측정을 담당하는 국립환경과학원의 대처 수준은 아직 일천하기 그지없다. 환경과학원은 지난 4일과 5일의 미세먼지 농도를 ‘보통 수준’으로 예보했지만 반대로 심각한 수준을 보였다. 담당 인력의 부족으로 세세한 정보를 파악하고 제공하지 못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미세먼지에 어떤 유해한 성분이 얼마만큼 포함됐는지를 신속히 분석하라는 것은 언감생심이다. 환경부는 며칠 후 중국 스모그와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효율적인 대책은 정확한 조사 자료가 있어야 제대로 수립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중국과의 공동 대응책 마련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 우리 정부가 지난 5월 중국 측에 제안한 대기분야 정책대화는 중국의 미온적 태도로 6개월이 지나도록 진전이 없는 상태다. 마냥 기다릴 순 없는 노릇이다. 중국 측에 정보 제공을 끊임없이 요구해 최소한의 자료는 받아내야 한다. 우리는 1950년대 영국 런던에서 발생한 최악의 스모그사태로 1만 2000명이 사망한 사건을 기억한다. 한반도의 오염된 미세먼지가 이 같은 사고로 이어지지 말라는 법은 없다.
2013-12-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