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상당수 의대가 개강한 4일 오전 새 학기 수업을 시작한 의대 실습실이 텅 비어 있다. 연합뉴스
대학들이 개강했지만 의과대학 강의실은 여전히 비어 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에 따르면 40개 의대의 24학번부터 19학번(본과 4학년)까지 재학생의 97%가 1학기 휴학 의사를 밝혔다. 증원 혜택을 받고 입학한 25학번 신입생마저 수업을 듣지 않고 있다. 신입생의 60%가 수강신청을 했다는데 수업에 들어오지 않는 방식으로 ‘동맹휴학’에 참여하는 모양새다.
신입생의 동참에는 선배 입김이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오리엔테이션에서 선배들이 집단행동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데 상당 시간을 할애했다고 한다. 전공의를 포함해 선배들과 10년가량 함께 생활하는 의대 특성상 선배들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신입생들은 의대 증원의 혜택을 누린 당사자들이다. 이들이 의대 증원에 반대한다며 수업 거부에 참여하는 행태는 극단적 이기주의로 비친다.
대부분의 의대는 1학년 1학기 휴학을 허락하지 않는다. 수업일수를 못 채우면 유급 처리된다. 그런데도 지난해 정부는 신입생에게 학칙에도 없는 조건으로 휴학을 허용했다. 대규모 유급 사태를 막기 위한 조치였지만 지금은 다르다. 교육부는 “올해는 집단 휴학 일괄 승인 등 학사 유연화를 절대 허용하지 않겠다”고 했다. 원칙 없이 반복된 정부의 양보로 사태가 되레 꼬인 측면이 컸다. 이번에는 원칙 대응에서 흔들리지 말아야 한다.
8개 의료단체가 내년 의대 정원은 증원 전으로 돌리고 2027년도 이후 정원은 추계위원회에서 결정하자는 안을 내놨다. 교육부는 원점 검토 입장이다. 내년 정원을 각 대학 자율에 맡기고 추계위에서 적정한 정원을 산출하는 것도 방법일 수는 있다. 관련 법안이 계류된 만큼 국회가 서두를 문제다. 올해도 수업이 파행으로 흐르면 내년에 3개 학년 1만명이 한꺼번에 1학년 수업을 들어야 한다. 학생들은 복학해 이런 파국의 피해자가 되지 말아야 하지 않겠나. 이참에 도제식 실습 등 의료계 특유의 폐쇄적 문화를 개선하는 것도 고민해야 한다.
2025-03-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