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에 완공된 서울 마포아파트는 국내 최초의 단지형 아파트로 시공도 주택공사가 했다. Y자 형태의 6개 동 650가구였고 9~17평의 6개 평형이 있었다. 역시 연탄보일러로 연탄가스의 위험이 있어 처음에는 입주율이 10%도 되지 않았다. 빈집이 많아 수도관이 터지는 일도 잦았다. 현장소장이 연탄가스가 샌다는 아파트에 들어가 직접 잠을 자는 ‘실험’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애초 ‘맘모스 아파트’로 명명됐던 이 아파트의 입주 자격이 재미있다. “월세를 낼 수 있는 능력자, 식구는 5인 이내, 단체생활을 잘 영위할 수 있는자, 지적 수준을 갖춘 사람”이다.(경향신문 1962년 11월 1일 자) 매점, 유치원, 어린이놀이터, 미장원, 식당 등 편의시설과 상가를 갖췄지만 역시 불편한 점이 없지 않았다. 원래 10층짜리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로 한 계획이 바뀌어 입주민들은 계단을 이용해야 했다. 주부로서는 무거운 김장재료나 연탄재 등을 들고 계단을 오르내리기가 힘겨울 수밖에 없었다. 또 마당이 없는 것은 감수하겠지만 가정의 필수품인 장독을 놓을 공간이 부족한 점도 불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없는 당시의 아파트 층별 분양가가 1층과 2층이 제일 높았고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쌌던 것은 당연했다.
날림 공사도 문제였다. 1967년에 완공된 서울 서부이촌동 공무원아파트는 방마다 물이 새고 방바닥과 벽에 물이 괴는가 하면 수세식 화장실도 고장 났고 연탄 불길이 막혀 가스가 새는 등 입주민들에게 큰 불편을 주었다. 사진은 마포아파트 항공사진.
손성진 논설주간 sonsj@seoul.co.kr
2018-01-2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