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
과거 국립보건원과 질병관리본부가 있던 이곳은 은평구에 있는 노른자위 땅이다. 면적도 30만평이 넘어 지역 주민들은 아파트를 짓거나 대형몰을 지어 지역 경제를 살리자고 했지만 수많은 반대를 무릅쓰고 지켜낸 곳이 ‘서울혁신파크’이다.
바로 그 공간이 지금 서울을 지키는 마지막 정류장 같은 곳이 됐다. 이곳에는 다양한 시민들이 모여 있다. 각자의 방식은 다르지만 서울과 사회를 고민하는 목적은 같아서 이 공간에서 모이는 시너지는 대단하다.
우리 사회는 현재 심한 진통을 앓는 중이다. 그동안 성장과 효율 중심의 사회발전 노력은 사회적 불평등과 생태적 위기를 악화시켜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한계를 드러냈다. 또한 행정 중심의 문제해결 노력은 사회의 다양한 분화에 조응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하향식 서비스만을 양산시켜 내 삶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지 못한다.
이런 시선에서 벗어나게 하는 근본적인 방법은 나도 잘 모르겠다. 아파트와 높은 빌딩으로 둘러싸인 도시가 점점 더 나를 밀어내는 느낌이랄까? 그렇게 ‘공간을 잃어버린’ 시민은 방황한다. 그래서 공적 공간은 시민들이 서로 연결하고 자원을 연결하고 활동을 매개하는 ‘연결 공간’으로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5년 전 박원순 시장의 가장 좋은 선택은 서울혁신파크를 공공 공간으로 남겨 놓은 것이다. 몇몇이 소유하게 될 공간이 아니라 시민 모두를 위한 공간, 시민에게 돌려주는 공간이다. 미래의 불확실성과 현재의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과 공동체 주도로 문제 해결력을 높여 가는 ‘사회혁신’ 실험을 시작한 것이다.
서울혁신파크는 비영리 민간 활동, 공동체 기반 활동 등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내는 활동과 정책이 펼쳐지는 동시에 마을공동체, 사회적경제, 청년 등 서울이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중간지원조직 등이 모이는 공간이 됐다. 언제든 갈 수 있는 열린 도서관, 전시장과 극장 등 시민 누구나 하나쯤은 즐겨 볼 만한 놀이공간 같은 공공 공간으로 서울혁신파크가 거듭나는 게 올해 또 하나의 목표다.
2018-01-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