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독도를 지키는 보다 실효적인 방법. 박찬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독도전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전 부원장

[시론] 독도를 지키는 보다 실효적인 방법. 박찬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독도전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전 부원장

입력 2015-02-22 14:04
수정 2015-02-22 14: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2일은 일본이 제정한 ‘다케시마의 날’이다. 올해 일본은 ‘다케시마의 날’ 제정 10주년 행사를 대대적으로 준비하는 등 독도 영유권에 대한 도발 수위를 갈수록 고조시키고 있다.

그동안 우리 정부와 국민은 이런 일본의 만행에 다양하게 대응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일본의 공세가 수그러들기는커녕 점점 더 커지고 있어 보다 현명한 대책이 요구된다. 역사적, 국제적, 정치적 등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겠지만, 과학기술적 접근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독도 관련한 기초연구 자료부터 정밀한 현장 관측자료까지, 독도 인근 수역과 해저영토 관련 자료는 우리 땅 독도를 더욱 우리 땅이게 만들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 박찬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독도전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전 부원장

▲ 박찬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독도전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전 부원장



우리 영토에 대한 과학기술적인 접근은 가장 실효적이며 확실한 정책이다. 정부는 2005년 독도지속가능이용법 제정에 이어 발표한 2006년 시행령에 따라 기본계획을 잇달아 수립하였고,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독도연구를 전담할 독도전문연구센터를 설립하고 독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한 바 있다. 독도에 대한 새로운 과학 정보를 생산하고 널리 보급하는 것은 독도의 실효적 지배국으로서 당연히 수행해야 할 일이며, 이는 독도를 실질적으로 수호하는 가장 강력한 방법이다.

이런 차원에서 2006년부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팀을 주축으로 국내 유관 연구기관, 대학, 산업체 등 많은 기관을 참여시킨 가운데 독도에 대한 입체적이면서도 정밀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해왔다. 또한 해상의 연구소인 온누리호, 이어도호 등 연구선 및 첨단조사장비, 하늘의 연구소인 해양관측위성, 심해의 포터블 연구소인 심해잠수정, 그리고 고정된 연구소인 다목적 관측부이 등으로 우리는 입체적이고 다각적인 조사방법을 총동원하여 독도에 숨겨진 많은 것들을 샅샅이 찾아내 왔다.

이를 통해서 역사상 가려졌거나 막연히 알았던 독도 관련 사실들이 새롭게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들이 우리 자신이 독도의 재산권을 행사하는 확실한 주인임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단적으로 말해, 독도는 바다 위에 솟은 작은 섬이 아니다. 독도는 바다 속에 숨겨진 어마어마한 우리의 영토다. 때문에 우리는 이런 독도를 빼앗기면 심해를 포함해 우리나라 면적 60%을 웃도는 해양영토의 일부를 타국에 내어준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해양과학기술은 드러나지 않은 독도의 많은 중요한 것들을 찾아냈다. 바다 속에 숨겨진 독도의 대륙붕 면적은 드러난 육지 면적의 400배가 넘고, 그 높이가 한라산보다 높다. 그뿐 아니라, 공간자원인 토지가 있고, 수산자원과 광물자원도 풍부하다. 또한 바다 속의 수려한 경관은 세계적인 수중관광 공원의 품격을 갖추고 있으며, 깊은 독도 바다는 해양학자들에게도 신기한 독특한 해양현상들로 가득하다.

독도에 대한 과학조사연구 결과는 독도에 대한 이용 및 관리에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수준의 세계적인 논문과 국제학회 발표로도 대거 이어졌다. 그 한 예로 독도 주변 심해에 살고 있되 세상에는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생물을 발견하여 우리 고유의 이름을 붙여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고, 독도 주변을 흐르는 심층해류의 특이한 움직임을 밝힌 사례는 국제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불러냈다.

한편, 이런 연구 성과를 토대로 ‘독도 3차원 영상물’과 ‘독도 4차원 시뮬레이터’ 개발이 이루어졌고, 국민들에게 독도의 육지 뿐만 아니라 수중 깊은 데까지 실제보다 더 세세하고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도왔다. 수많은 성과확산과 활용은 독도의 영토 주권국인 우리가 주권 행사를 확실히 하고 있다는 것을 전 세계에 공개적으로 알린 것이고, 이것이 곧 독도 영토주권에 대한 우리의 확고한 의지와 명확한 증거였던 것이다.

물론 아직 드러나지 않은 ‘독도’가 더 많다. 수천 미터 깊이의 심해 독도까지 샅샅이 우리 것으로 만드는 데 필요한 해양과학기술력의 증진이 더욱 절실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독도가 지닌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또 해양과학기술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비해, 우리가 준비한 실질적인 투자는 아직 충분치 않은 수준이다. 과거를 잊으면 미래의 희망까지 잃고, 시기를 놓친 투자는 뒷날 아무리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도 회복하기 힘들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독도는 우리가 염원하는 희망과 미래의 바로미터다.

박찬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독도전문연구센터

 책임연구원/전 부원장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