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경희 문학평론가
늦은 나이에 수영을 새로 배우며 여행을 떠날 때도 수영복을 챙기게 되었다. 여행지에 머무르는 동안 최소한 한 번은 지역의 공립 수영장에 간다. 내가 떠나온 곳과 다른 말씨를 쓰는 사람들 사이에서 커다랗게 반향하며 뒤섞이는 목소리, 물, 빛, 공기 방울을 흠뻑 받아들이는 것이다.
동네 서점에 다니는 습관을 들이면서 그 역시 여행의 의례로 포함시켰다. 여행을 떠나기 보름 전 즈음 어떤 지역 서점이 있는지 검색한다. 그중 마음에 드는 곳에 전화를 걸어 여행 일정을 밝히고 원하는 책을 주문한다. 내 딴에는 서점 주인에게 책을 입고할 여유를 드리려는 것이지만, 보름 후에 정말 온다는 보장이 없는 낯선 자의 말을 함부로 믿어 달라고 할 수도 없기에 조심스럽다.
놀랍고도 기쁜 사실은 서점마다 주문 전화를 반긴다는 것이다. 심지어 여행자가 바로 그 서점까지 찾아와 책을 사려 한다는 데 더욱 반가워하면서 그날까지 기다리고 있겠다고, 여행 편안히 오시라고, 밝고 뿌듯한 목소리로 인사를 주신다. 우리는 걱정과 의심을 흩뜨리고 서로 벅찬 마음으로 통화를 마친다. 그리고 각자의 거주지에서 여행일이 오기를 두근두근 기다린다.
동네 서점 방문을 처음 시도한 여행지는 2019년 초여름의 전주다. 고속버스터미널에 도착하자마자 걸어서 갈 만한 거리의 책방놀지에 호기심이 동했다.
책방놀지는 처음 가 보는 도시의 첫 방문지가 될 터였다. 책방에 미리 주문한 책은 ‘소치 허련, 조선 남종화의 마지막 불꽃’(김상엽 지음, 돌베개, 2008)과 ‘현재 심사정, 조선 남종화의 탄생’(이예성 지음, 돌베개, 2014)이었다. 나는 전주 다음에 진도를 여행할 계획이었고, 진도의 운림산방을 보기 전에 소치와 조선 미술을 예습하고 싶었다.
보름 동안 서로 기다린 여행자와 서점 주인이 만나는 양상은 경우마다 다르다. 반가워요, 기다리고 있었어요, 제가 너무 늦게 왔죠, 주고받는 말마다 느낌표를 스무 개쯤 붙이며 신나게 호들갑을 떨기도 하지만, 저어, 아 그분이시구나, 여기, 네, 수줍음에 어쩔 줄 몰라 말줄임표를 한없이 늘이기도 한다.
책방놀지는 후자였다. 나는 말을 더듬으며 책과 커피를 받아 들고 탁자 앞에 편안히 앉아 책을 읽었다. 책방의 아디안텀이 내가 기르는 것에 비할 바 없이 풍성하여 놀라웠다.
나는 책방의 서가도 찬찬히 훑어보다가 ‘레오나르도가 조개화석을 주운 날’(스티븐 제이 굴드 지음, 김동광·손향구 옮김, 세종서적, 2008)을 골라 계산하고 나왔다. 아, 좋았다, 마음이 충만해지는 곳이었어.
수목원행 버스 정류장으로 걷는데 뒤에서 누군가 다급하게 불렀다. 책방놀지에 계신 분이었다. 책방의 손뜨개 코스터 하나를 선물로 건네주셨다. 우리는 또 서로 말을 더듬으며 아, 저기, 어, 고개만 거듭 숙였고.
2022-08-3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