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계미(雉鷄米)라는 게 있다. 입동이나 동지, 섣달 그믐날에 마을 노인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풍속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자어를 그대로 풀면 꿩(雉)과 닭(鷄)과 쌀(米)이다. 꿩도 잡고 닭도 잡아 따뜻한 쌀밥에 정성껏 담아낸다는 의미이리라. 기력에 좋은 양분을 듬뿍 섭취해 엄동설한을 잘 견뎌내라는 바람이 담겨 있다. 원래는 사또의 밥상에 올릴 반찬값 명목으로 받는 뇌물을 의미했다고 한다. 어떤 연유에서 훈훈한 세시풍속으로 변했는지는 모르지만 발전적 승화임에는 틀림없다. 아마도 긴긴 겨울을 끝내 못 넘기고 이승을 떠나는 동네 어른들이 늘면서 이심전심 생겨난 추렴이 아닐까 싶다. 밭뙈기 한 자락 없는 사람도 이날 만큼은 돈이나 곡식을 냈다고 한다. 정 형편이 안 되는 사람은 겨울잠을 자기 위해 도랑으로 숨어든 미꾸라지라도 잡아 대접했단다. 이름하여 도랑탕 잔치다.
날씨가 부쩍 추워졌다. 올해도 연탄이며 김장배추며 많이들 실어나르고 있다. 그런데 예전만은 못하다는 얘기가 꼭 따라붙는다. 치계미의 온기가 더 많이 더 오래도록 이어졌으면 싶다.
안미현 논설위원 hyun@seoul.co.kr
날씨가 부쩍 추워졌다. 올해도 연탄이며 김장배추며 많이들 실어나르고 있다. 그런데 예전만은 못하다는 얘기가 꼭 따라붙는다. 치계미의 온기가 더 많이 더 오래도록 이어졌으면 싶다.
안미현 논설위원 hyun@seoul.co.kr
2013-11-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