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파트너와 저출산의 미래/박현갑 논설위원

[길섶에서] 파트너와 저출산의 미래/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8-12-06 17:36
수정 2018-12-06 17: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내 어디든 커피전문점이다. 목 좋은 곳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손님이 끊이질 않는다. 점심 때는 직장인들로 문전성시를 이룬다. 직장인에겐 사랑방이지만, 학생들에겐 공부방이기도 하다. 커피 한 잔 시켜놓고 책과 씨름하는 학생들을 보면 경이롭다. 커피 내리는 또래 젊은이들의 눈에는 어떻게 비칠까.

어제 스타벅스의 장학지원 사업을 듣게 됐다. 바리스타에서부터 슈퍼바이저, 점장 등 파트너로 불리는 모든 직원에게 대학 진학을 원하면 연간 300명까지 등록금 전액을 지원한다고 한다. 외식전문업체지만 전공은 업무랑 관계없어도 되며 졸업 후 재직 의무도 없다고 한다.

최근 강원도에서 발표한 파격적인 출산지원책이 떠오른다. 강원도에서 내년부터 아이 낳으면 4년간 첫 1년간은 매월 70만원, 이후 3년간은 매월 50만원씩 모두 2640만원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정부 승인만 남았는데 지원만 받고 타지로 가버리면 무슨 효과가 있겠느냐는 우려가 나오는 모양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민을 가지 않는 이상 미래 일꾼이 불어날 수 있다면 인색할 이유가 있을까. “인간의 정신에 영감을 불어넣고 더욱 풍요롭게 한다”는 스타벅스의 사명이 새롭게 다가온다.

eagleduo@seoul.co.kr
2018-12-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