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생명 공동체, 대학/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생명 공동체, 대학/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19-08-28 18:00
수정 2019-08-29 02: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맙게도 집 주변에 대학교가 하나 있다. 너른 호수가 있고 가운데에는 사람 손 안 타는 제법 큰 섬도 있다. 오가는 여러 텃새, 철새들만 섬 안팎에서 수다스럽게 울어대며 주인 행세를 한다. 고양이 등 외부 침입자도 올 수 없다. 생존의 절박함이 없으니 평화롭기만 하다. 늦여름 더위 속 바람이라도 건듯 불면 상쾌하다. 어스름 저녁이면 연인들이 호숫가에서 밀어를 속삭이기도 하고, 학생들 두엇이 맥주 한두 캔 놓고 가벼운 술자리 갖기도 한다. 틈날 때마다 어슬렁거리며 잠시나마 도심 생활의 삭막함을 잊곤 한다. 동네 어르신들에겐 체력단련장이자 회합 장소다. 호수 주변을 서너 바퀴 도는 데만 꼬박 한 시간 가까이 흐르니 노인도 무리하지 않고 산보하기 딱 좋다.

어느 날 아침 거위 한 마리가 호수 산책로 복판에 앉아 있다. 꽤 거만한 자세다. “꽉꽉” 말 붙여도 쳐다보지 않는다. 멀찍이 떨어져 “구구국”, “꽈락꽈락” 다양한 언어로 ‘길 좀 비켜 달라’는 뜻을 전했건만 눈길조차 주지 않는다. 아침부터 얘기꽃 피우던 어르신 중 한 사람이 가까이 다가가니 귀찮다는 듯 뒤뚱뒤뚱 자리를 비켜 준다. 언젠가 대학을 ‘생활, 학문, 투쟁의 공동체’라고 했던가. 대학이 다양한 생명과 존재들이 지역과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 된 것만큼은 분명하다.

youngtan@seoul.co.kr
2019-08-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