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조기 유학의 허와 실/오승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조기 유학의 허와 실/오승호 논설위원

입력 2014-04-05 00:00
수정 2014-04-05 02: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강남에 사는 치과의사의 아들 A(24)군은 중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그의 부모는 영어를 빨리 익힐 수 있게 하기 위해 아들을 한국 학생들이 없는 시골학교에 입학시켰다. 고교를 졸업하고는 아이비리그대학에 들어갔지만 수업을 따라가지 못해 1학년 때 귀국했다. 결국은 국내 대학에 가기 위해 다시 수학능력시험을 치렀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 군 복무를 하고 있다. 조기 유학의 실패 사례라 할 수 있다.

조기 유학은 2000년 3월 허용됐다. 병역의무 대상자의 해외 여행을 규제한 병무청의 훈령이 무효 판결을 받은 것을 계기로 정부가 규제완화 차원에서 조기 유학을 자유화했다. 초창기 조기 유학생은 상승곡선을 그렸다. 2000년 4397명을 시작으로 2001년 7944명, 2002년 1만 132명, 2003년 1만 498명, 2004년 1만 6446명, 2005년 2만 400명 등이었다.

조기 유학을 택하는 이유는 여럿 있겠지만 영어 등 외국어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 적잖다는 연구자료들이 있다. 국내 사교육비도 영어 과목에 들어가는 비용이 가장 많다. 치열한 입시 경쟁으로 인해 국내에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가 쉽지 않은 점도 조기 유학의 한 요인이다. 그러나 조기 유학의 열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조기유학생은 2006년 2만 9511명을 정점으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 2012년에는 1만 430명으로 6년 만에 절반 이상 줄었다. 10여년 전 수준이다. 지난해 한국인 유학생들의 학비와 체류비 등으로 빠져나간 유학·연수 지급액은 39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6.0% 줄어들면서 2005년(33억 8090만 달러) 이후 8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영어를 잘하거나 외국대학을 나온 것이 취업 등에서 이점으로 작용하는 시대는 지나갔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외국에서 학교를 졸업했다고 영어에서 차별화되지 않는다”면서 “영어를 잘하는 인력 수요는 극히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영어교육도시 등도 유학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 제주 영어교육도시에는 조기 유학 대신 국제학교를 택한 한국 학생들을 태운 고급 승용차들이 줄을 잇는다. 이곳에 있는 한 유명 국제학교는 올해 첫 졸업생 56명 가운데 세계 10위 이내 대학 합격자가 46명이나 된다고 한다. 영어교육도시는 제주도의 인구 순유입률이 세종시에 이어 전국 2위를 차지하는 데도 기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러기 아빠’의 76.8%는 영양불량이라는 통계도 있다. 조기 유학도 영어를 위한 사교육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외국대학 유치 등 유학을 대체할 프로그램들을 적극 개발해 조기 유학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여야 한다. 그러면 출산율을 높이는 데도 도움을 줄 것이다.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2014-04-0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