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의 탈출은 직장인의 영원한 ‘로망’(꿈)이다. 여름휴가 때나 겨우 가능한 일이지만 올해는 기회가 좀더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법정 휴가와 덤으로 얻는 임시휴일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는 연속 휴가 일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소위 ‘황금연휴’라고 말하는 연속 휴가가 지난 5월에 이어 10월에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김진표 위원장이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밝힌 인터뷰 내용이 그제 직장인들 사이에 화제가 됐다. 직장인에게 이보다 더 좋은 희소식이 또 어디 있을까. 대체공휴일제 확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긴 하지만 직장인들이 느끼는 감회는 상상 그 이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 5월에는 석가탄신일, 어린이날, 어버이날 등으로 일요일을 포함해 최장 9일까지 쉰 직장인들도 많다. 국정위의 방안대로 10월 2일 월요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하면 9월 30일 토요일부터 10월 3일 개천절과 3일간의 추석 연휴, 10월 9일 한글날까지 무려 열흘간의 휴가가 가능해진다. 기껏 여름휴가 1주일이 최장기 휴가였던 우리 직장인들에게 새로운 경험이 아닐 수 없다.
임시휴일 지정의 배경으로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과 내수 활성화가 거론됐다. 생각지도 않았던 긴 휴가가 생겼으니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은 말할 것도 없고 국민의 행복지수 또한 높아지지 않을까 기대된다. 불행히도 올 2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국민행복지수에서 우리나라는 32개국 중 31위에 머물렀다. 직장인들이 긴 휴가를 통해 재충전된다면 업무 성과와 함께 행복지수 또한 덩달아 높아지리라 믿는다.
다만 내수 활성화가 관건이다. 지난 5월 연휴 당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일평균 해외 결제액은 전년보다 무려 44.1%나 급증했으나 국내 카드 결제액은 19.6% 증가하는 데 그쳤다. 황금연휴를 외국에서 보내는 사람이 많은 탓이다. 국내에선 놀 거리가 없기 때문일까.
황금연휴가 누구에게나 반가운 것만은 아니라는 것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골목상권의 자영업자들과 서비스업종에 종사하는 종업원, 아르바이트 근로자 등은 오히려 짜증만 더할 수 있다. 위화감을 느끼는 근로자도 있을 수 있다. 이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떨쳐 낼 묘안도 찾아냈으면 한다. 만인을 위한 보편적인 행복이란 없듯이 전 국민을 만족하게 하는 황금연휴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잠시나마 로망을 이루는 직장인이 많아진다면 그나마 다행한 황금연휴가 되지 않을까?.
지난 5월에는 석가탄신일, 어린이날, 어버이날 등으로 일요일을 포함해 최장 9일까지 쉰 직장인들도 많다. 국정위의 방안대로 10월 2일 월요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하면 9월 30일 토요일부터 10월 3일 개천절과 3일간의 추석 연휴, 10월 9일 한글날까지 무려 열흘간의 휴가가 가능해진다. 기껏 여름휴가 1주일이 최장기 휴가였던 우리 직장인들에게 새로운 경험이 아닐 수 없다.
임시휴일 지정의 배경으로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과 내수 활성화가 거론됐다. 생각지도 않았던 긴 휴가가 생겼으니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은 말할 것도 없고 국민의 행복지수 또한 높아지지 않을까 기대된다. 불행히도 올 2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국민행복지수에서 우리나라는 32개국 중 31위에 머물렀다. 직장인들이 긴 휴가를 통해 재충전된다면 업무 성과와 함께 행복지수 또한 덩달아 높아지리라 믿는다.
다만 내수 활성화가 관건이다. 지난 5월 연휴 당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일평균 해외 결제액은 전년보다 무려 44.1%나 급증했으나 국내 카드 결제액은 19.6% 증가하는 데 그쳤다. 황금연휴를 외국에서 보내는 사람이 많은 탓이다. 국내에선 놀 거리가 없기 때문일까.
황금연휴가 누구에게나 반가운 것만은 아니라는 것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골목상권의 자영업자들과 서비스업종에 종사하는 종업원, 아르바이트 근로자 등은 오히려 짜증만 더할 수 있다. 위화감을 느끼는 근로자도 있을 수 있다. 이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떨쳐 낼 묘안도 찾아냈으면 한다. 만인을 위한 보편적인 행복이란 없듯이 전 국민을 만족하게 하는 황금연휴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잠시나마 로망을 이루는 직장인이 많아진다면 그나마 다행한 황금연휴가 되지 않을까?.
2017-07-0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