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소통의 심리 - 진정한 소통이란/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열린세상] 소통의 심리 - 진정한 소통이란/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입력 2011-01-25 00:00
수정 2011-01-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함께 사는 삶에서 소통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간뿐 아니라 동물들도 나름의 소통 방식을 가지고 있다. 벨벳 원숭이는 동료들에게 천적들이 나타날 때 각기 다른 경고의 소리를 낸다. 표범이 나타나면 짖어대고, 독수리가 오면 기침을 하고, 뱀을 볼 때는 끼끽 소리를 낸다고 한다. 또 박쥐는 날개를 쫙 펴거나 겨드랑이의 냄새 나는 분비샘을 드러내는 생태학적 알림(ecological call)으로 자기 종의 구성원을 구분한다는 연구도 있다.

이미지 확대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이것은 자기 위치를 상대에게 알리는 효과도 있지만 박쥐들만의 독특한 의사소통을 만들기도 한다. 생태학적 알림을 들었을 때, 박쥐는 그들만의 특별한 음성 신호로 다시 응답한다고 한다. 그 응답은 “안녕, 나야.”와 같은 반가움의 표현으로 사회적 정보를 전달하는 박쥐들 나름의 의사소통이다.

인간관계에서도 자신의 의견을 잘 전달하고 상대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소통은 개인 간 관계뿐만 아니라 조직의 이해관계에서도 중요한 해결의 도구가 된다. 논리 있게 말을 잘 하는 것이 소통에 도움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언어적 소통만이 전부는 아니다. 메러비안 법칙(law of Mehrabian)에서는 소통에서 비언어적 요소의 역할이 더 크다고 강조한다. 의사소통은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적 요소란 잘된 언어 사용, 즉 전하려는 바를 적절한 단어를 골라 적절하게 사용하느냐와 관련된 요소이다. 비언어적 요소란 제스처, 얼굴표정, 눈 맞춤, 물리적 거리, 억양 및 어조 등으로 언어 내용 그 자체는 아니나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서로 대화하는 사람들을 관찰하여 소통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살펴본 심리학자 앨버트 메러비안(Albert Mehrabian)에 의하면, 사람들 간의 소통에서 비언어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크다. 상대방에게 내용을 이해시키는 데 있어서 목소리는 38%, 표정은 30%, 태도는 20%, 몸짓이 5%의 영향을 끼치지만 말하는 내용 자체는 겨우 7%의 비중만을 차지했다.

그런데 이런 비언어적 소통의 요소 중에서도 자신감 있는 적극적 제스처나 목소리가 더욱 효과적인 소통을 가져온다. 미국 MIT대학 미디어랩에서 재미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젊은 경영진 집단과 재정 전문가 집단에게 MIT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비즈니스 계획을 발표하라고 했다. 이때 직접 와서 발표를 해도 좋고 아니면 문서를 구체적으로 잘 작성하여 제출해도 좋다고 했다. 그리고 이 중에서 가장 이득이 남을 것 같은 아이디어를 선택할 것이라고 했다.

그 결과, 문서만 제출한 경우보다 직접 와서 면대면(face to face)으로 발표를 한 경우가 채택되는 비율이 훨씬 높았다. 그런데 특별히 고안된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여 직접 방문한 이들의 발표 당시 행동을 모두 녹화 분석하였다. 자신감 있는 행동, 제스처, 미소 등 사회관계 요소들의 점수를 측정한 결과 이런 사회관계 요소들이 많은 사람의 아이디어가 훨씬 더 많이 채택되었다.

즉, 참여한 연구원들은 아이디어가 참신해서 선택했다고 답하고 있었지만 실은 발표의 내용보다 얼마나 자신 있게 발표 했는지, 또 얼마나 적극적인 신체적 제스처로 말하고 있는지가 중요했다. 즉, 발표의 내용도 내용이지만 무의식적으로 소통을 이끌어 내는 비언어적 행동, 적극성과 자신감이 설득력 있는 전달에 더 중요하다.

다시 말해 서류만 제출한 경우보다 사람을 직접 보면서 이뤄지는 면대면의 소통이 더욱 효과적이며, 이야기하면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제스처나 목소리, 그것이 소통을 위한 정직한 신호가 될 수 있다.

범람하고 있는 인터넷 공간상의 소통, 편리함과 신속함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직접적인 만남, 반드시 언어가 아니더라도 내 의견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제스처, 무언의 감정 교류가 진정한 소통을 가져오는 것은 아닌지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의 소용돌이 한가운데에서 잠시 아날로그적 생각을 해본다.
2011-01-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