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몸은 마음을 따른다/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 문학평론가

[열린세상] 몸은 마음을 따른다/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 문학평론가

입력 2013-10-01 00:00
수정 2013-10-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문흥술 서울여대 국문과 교수·문학평론가
요즘 무릎이 아파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뛰는 건 고사하고 걸을 때마다 무릎이 욱신거려 무척 힘들다. 올여름, 더위에 지쳐 축 늘어진 몸을 추슬러야겠다는 생각으로 헬스클럽을 다니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트레드밀 위를 천천히 걷는 것이 다였다. 그러다가 근육질의 몸을 자랑하는 젊은이를 보고서는 눈이 뒤집힌 것인지 나도 저런 몸을 갖고 싶다는 생각을 했고, 근 한 달 동안 땀을 비 오듯 흘리면서 죽으라 뛰었다. 상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웨이트트레이닝도 열심히 했다. 그런데 매끈한 근육질의 몸은 오간 데 없고 고장 난 무릎만 남았다.

9월 초에 학생들과 강원도로 2박 3일 답사를 가서도 무릎이 애를 먹였다. 근육질의 남성이 되려고 하다가 그리됐다는 말을 차마 제자들에게 할 수가 없었다. 속으로 끙끙 앓는데, 제자들은 선생님 괜찮으시냐고 자꾸 묻는다. 답사 첫날, 시리도록 푸른 바다가 발 아래 보이는 민박집에서 자면서 끊임없이 밀려드는 파도 소리에 잠을 설쳤다. 그런데 몸은 개운했다. 이튿날, 백담사에 들렀다가 하산 길에 버스를 타지 않고 걸어 내려왔다. 백담계곡을 끼고 두 시간 넘게 걷는 길이건만 무릎도 아프지 않고 조금도 피곤하지 않았다. 몸과 마음이 그렇게 상쾌할 수 없었다. 만해마을에서 산 그림자를 끼고 잔 다음 날 아침, 숲의 알싸한 향기를 들이마시면서, 몸은 마음을 따른다는 것을 퍼뜩 깨달았다. 부끄러움이 확 일었다. 몸보다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는 누구보다 강조해 오지 않았던가.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분필을 보여주면서 이게 뭐냐고 묻는다. 그러면서 분필을 분필이라 하는 것은 문학적 상상력이 아니라고 힘주어 말한다. 삭막한 도심에서 자연을 그리워하는 사람은 자작나무를 떠올릴 것이고, 광활한 우주를 지향하는 사람은 우주선을 떠올릴 것이라 말한다. 문학을 하려면 마음과 정신의 사려 깊은 시선이 눈과 귀의 기계적 반응보다 더 중요하다고 가르치면서, 정작 나는 마음을 풍요롭게 가꾸는 것은 내팽개친 채 기계적인 몸의 날씬함과 우람함만을 보여주려 했던 것이다.

몸은 마음을 따른다는 생각이 들자, 주머니에 있는 스마트폰이 갑자기 거추장스럽게 느껴졌다. 마음과 영혼의 순수함을 추구하는 문학 시간에 스마트폰 같은 기계 나부랭이를 만지느냐고 불호령을 내린 적이 있다. 그런 내가 요즘 손에서 스마트폰을 떼지 못한다. 얼마 전, 지방에 갈 일이 있어 습관적으로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을 켰다. 그런데 이 기계가 영 엉망이다. 나는 내 기억 속에 자리한 지도에 따라 운전을 했는데, 스마트폰은 자꾸만 경로를 이탈했다고 알려준다. 아마 새로 생긴 도로가 있어 지름길을 안내하는 모양인데, 나는 예전에 다니던 도로로 자꾸만 달린 것이다. 경로 이탈이란 말이 나올 때마다 혹시 내가 길을 잘못 든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엄습했다.

그때, 최수철의 ‘내 정신의 그믐’이 떠올랐다. 인간을 기계화하는 시대에 적응하지 못한 주인공이 자신의 순결한 마음과 욕망을 되찾고자 오지로 떠난다. 그 오지는 내비게이션에도 나타나지 않는 곳이다. 그곳에서 주인공은 때 묻지 않은 마음과 욕망을 되찾아 새로 태어나고 다시 세상과 맞선다. 정보 사회에서 내비게이션 같은 기계에 길드는 한 결코 순수한 인간으로 거듭날 수 없다는 것을 이 작품은 강조한다. 어느새 나도 정신이 그믐 상태가 된 기계 인간이 되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윤동주의 ‘또 다른 고향’이라는 시를 다시 읽는다. 일제강점기의 황폐한 현실을 거부한 채 백골이 되어 가는 자아가 하늘과 바람과 별이 있는 아름다운 혼의 고향을 찾아 길을 떠난다. 학생들에게 이 시를 가르칠 때마다 시인의 고귀한 정신을 본받아 아름다운 혼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건만, 나는 마음의 고향을 잃어버린 채 몸 만들기에 여념이 없었다. 참으로 한심한 인간이 아닐 수 없다.

하늘의 뜻을 알아야 하는 지천명의 나이면 인생에서 가을 무렵일 텐데. 이쯤 되면 내 마음의 지도도 한 벌쯤 마련되어야 할 것 아닌가. 그런데 하늘의 뜻을 거역하고 ‘몸짱’에 미혹되었으니 무릎이 아플 수밖에. 무릎은 언제 좋아질는지.

2013-10-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