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야당인 민주당의 외교안보통으로 꼽히는 오노 모토히로(大野元裕) 의원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역사인식을 비판하면서 ‘고노담화’ 수정 움직임에 반대입장을 밝혔다.
미국을 방문중인 오노 의원은 8일(현지시간) 워싱턴 헤리티지 재단 강연에서 “정부가 고노담화를 수정한다면 여러 면에서 역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아베 총리가 역사 문제 수정에 신중한 자세를 취하기를 요구한다”면서 역사 문제는 관련국들의 학계에 맡기는 것이 최상이라고 덧붙였다.
고노담화는 1993년 8월 고노 요헤이 (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강제성을 인정하고 중대한 인권침해였다는 점을 사죄한 것으로 그동안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새로 집권한 아베 정권은 집권 후 고노담화와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죄한 1995년의 무라야마(村山) 담화를 계승하겠다면서도 역사인식과 관련한 새로운 총리 담화를 발표하겠다고 밝혀 한국과 중국 등의 반발을 샀다.
미국 정부도 일본이 고노담화를 수정할 경우 주변국들과 관계가 악화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일본 정부에 역사인식 수정에 신중한 자세를 취해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미국을 방문중인 오노 의원은 8일(현지시간) 워싱턴 헤리티지 재단 강연에서 “정부가 고노담화를 수정한다면 여러 면에서 역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아베 총리가 역사 문제 수정에 신중한 자세를 취하기를 요구한다”면서 역사 문제는 관련국들의 학계에 맡기는 것이 최상이라고 덧붙였다.
고노담화는 1993년 8월 고노 요헤이 (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강제성을 인정하고 중대한 인권침해였다는 점을 사죄한 것으로 그동안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인식돼 왔다.
그러나 새로 집권한 아베 정권은 집권 후 고노담화와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죄한 1995년의 무라야마(村山) 담화를 계승하겠다면서도 역사인식과 관련한 새로운 총리 담화를 발표하겠다고 밝혀 한국과 중국 등의 반발을 샀다.
미국 정부도 일본이 고노담화를 수정할 경우 주변국들과 관계가 악화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일본 정부에 역사인식 수정에 신중한 자세를 취해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