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북·야후도 “美정부에 건넨 정보공개 허용해달라”

페북·야후도 “美정부에 건넨 정보공개 허용해달라”

입력 2013-09-10 00:00
수정 2013-09-10 1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구글.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비밀법원에 소송 제기

페이스북과 야후도 자사가 미국 정보당국에 제공한 정보를 공개하게 해달라며 미국의 비밀법원에 각각 소송을 제기했다.

앞서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도 이 같은 내용의 소송을 냈으며 현재 법원에 계류 중이다.

페이스북과 야후는 소장을 통해 자사가 접수한 해외정보감시법원의 명령 건수를 공개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들 업체는 표현의 자유를 규정한 미국 수정헌법 제1조에 따라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전 필리언 야후 대변인은 “이번 소송은 (다른 인터넷 기업과) 동일한 이해관계에서 출발한다”며 “우리는 정보당국이 요구한 사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콜린 스트레치 페이스북 법무자문위원 역시 “오늘 우리는 다른 기업의 소송에 동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해외정보감시법원은 지난 1978년 미국의 해외정보감시법(FISA)에 따라 설립된 비밀법원으로 감청 허용 여부 등 해외정보 사찰 관련 사안을 담당한다.

페이스북 등의 기업이 정보당국에 정보를 제공한 것은 이 법원의 명령에 따른 것이다.

구글, MS, 페이스북, 야후, 애플, 팔톡, AOL, 스카이프, 유튜브 등의 인터넷 기업들은 미국 정보당국이 프리즘이란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의 중앙 서버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정보수집 활동에 협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이들 기업은 프리즘의 존재를 알지 못했고, 합법적인 정보 제공 요청에만 응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