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식회의서 의견수렴…국제사회 북 인권 비판에 적극적 방어 해석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는 15일(현지시간) 자국의 인권 상황에 대한 결의안 초안을 작성해 각국 유엔대표부에 돌렸다.북한 유엔대표부는 이날 오후 뉴욕 유엔본부에서 유엔 회원국 외교관 60여명을 초청한 가운데 비공개 회의를 열어 결의안 초안을 회람시켰다고 유엔 소식통들이 전했다.
북한은 초안에서 자국이 국제무대에서 인권 증진을 위해 많은 협력을 하고 있다는 주장을 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아동매매·매춘 등의 근절을 위해 지난 8월 ‘유엔 아동권리협약 보충의정서’에 서명한 점 등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또 초안에서 “인권 문제가 정치화되면 안 되고, 인권 문제에서는 이중기준이 허용돼서는 안 된다”는 요지로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인권은 모든 나라에 대해 평등한 기준에서 평가돼야지, 특정 국가를 겨냥해 ‘선택적으로’ 심의돼서는 안 된다는 내용도 초안에 포함한 것으로 전해졌다.
AP통신은 초안에 대해 “북한이 자국의 인권상황을 호평하는(praise) 내용”이라면서 북한의 대응이 이례적이라고 전했다.
앞서 북한 유엔대표부는 지난 9일 자체 결의안을 제출하겠다는 뜻을 각국에 서신으로 사전 공지한 바 있다.
이날 회의는 북한이 결의안을 확정하기에 앞서 회원국들의 의견을 수렴하려는 절차로 보인다.
일부 회원국이 회의에서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으나 어떤 내용이었는지, 초안의 내용에 대한 직접적 언급이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중국 측은 “한 국가의 내정에 간섭하고, 상호 신뢰를 손상시키는 결의안에는 강력히 반대한다”고 말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유엔의 한 소식통은 “중국이 견지해온 원론적 입장”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움직임은 최근 유럽연합(EU) 등이 북한의 반(反) 인권적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는 내용의 유엔 인권결의안을 추진하고, 북한이 이에 강하게 반발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국제사회가 과거보다 강도 높게 북한의 인권 상황을 문제로 삼자, 북한도 더 적극적으로 방어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