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상하이증시 5.3% 폭락…3,000선 붕괴 위험

中 상하이증시 5.3% 폭락…3,000선 붕괴 위험

입력 2016-01-11 17:02
수정 2016-01-11 17: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등 하루만에 다시 폭락…하한가 종목 1천200개

중국 경제의 둔화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면서 11일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5.33%(169.71포인트) 폭락한 3016.70에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1.7% 하락한 채 장을 시작해 오후 들어 낙폭을 키우며 3,000선까지 위협했다.

선전 성분지수도 6.21%(676.45포인트) 폭락한 110,212.46에 거래를 마쳤다.

두 증시에서 하한가를 맞은 종목만도 1천200개에 달했다.

상하이와 선전의 대형주로 구성된 상하이선전(CSI) 300지수는 5.03% 하락했다.

연초 폭락장이 이어졌던 중국 증시는 서킷 브레이커 제도 철회, 대주주 지분매각 제한 조치와 함께 중국 당국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으로 상승세로 돌아섰다가 이날 다시 폭락 반전했다.

무엇보다 중국 경제 전반에 대한 하강압력으로 투자자들의 선제적인 위험 회피 심리가 작용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유층들이 대거 주식시장에서 빠져나가고 있다는 언론 분석도 나왔다.

아울러 주말께 발표된 물가 지표 부진과 함께 위안화 절하 압력이 영향을 끼쳤다.

선정양(沈正陽) 둥베이(東北) 증권 애널리스트는 “연 이틀간의 위안화 절상 조치에도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이 증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리스크 요인을 확대시켰다”고 말했다.

김경환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연초의 환율 이슈가 사라지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주에 구조조정 수혜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많이 올랐던 철강, 석탄, 비철금속 등 대형주가 정책 기대가 과도했다는 분석에 급락했다”면서 “장초반부터 외국인 위주의 홍콩지수가 빠지면서 본토의 하락세를 이끈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급준비율 인하 같은 확실한 조치가 없다는 실망감도 영향을 끼쳤으며 계절적으로 춘제(설) 전에는 주가가 빠지는 영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5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5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