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외무상의 시대착오적 발언 “안 낳으면 무엇이 여성인가”

日 외무상의 시대착오적 발언 “안 낳으면 무엇이 여성인가”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4-05-19 16:20
업데이트 2024-05-19 16: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시다 총리 “오해 소지 있는 표현 피해야” 경고

이미지 확대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이 지난 1월 핀란드 헬싱키에서 기자회견을 갖는 모습. 2024.05.08. AP뉴시스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이 지난 1월 핀란드 헬싱키에서 기자회견을 갖는 모습. 2024.05.08. AP뉴시스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이 선거 유세 중 “(후보인 이분을) 우리 여성이 낳지 않으면 무엇이 여성인가”라고 말했다가 차별 발언이라는 비판을 받고 발언을 취소했다.

19일 NHK 등에 따르면 가미카와 외무상은 전날 시즈오카현 지사 선거 유세를 하던 도중 이같이 발언했다. 가미카와 외무상은 시즈오카현을 지역구로 둔 자민당 중의원(하원) 의원이다. 오는 26일 치러지는 시즈오카현 지사 선거에 오무라 신이치 전 시즈오카현 부지사가 출마했고 그를 지지한다는 의미로 발언하다 문제의 발언이 나온 것이다.

가미카와 외무상은 새로운 지사 선출을 바란다는 의미로 ‘낳다’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이 말은 일본에서도 ‘출산하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특히 ‘여성이 낳지 않으면’이라고 말하면서 더욱 출산하다라는 의미에 가깝게 쓰였다.

이에 대해 마이니치신문은 “새로운 지사를 탄생시키자는 취지의 발언이었지만 출산하고 싶어도 곤란한 상황에 있는 사람에 대한 배려가 결여됐다는 지적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가미카와 외무상은 과거 연설에서도 “낳는 것의 고통이 있지만 꼭 낳아 달라”며 같은 문제를 반복해왔다.

야당은 강하게 비판했다.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 오사카 세이지 대표 대행은 “아이를 낳지 않는 여성은 여성이 아니라고 받아들여질 수 있는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가미카와 외무상은 19일 기자들과 만나 “저 자신이 2000년 첫 당선됐는데 그때 저라는 중의원을 탄생시켜 준 여러분에게 다시 한번 여성의 파워를 발휘해 새로운 지사를 탄생시키자는 의미에서 말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문제의 발언을 철회했지만 발언에 대해 사과하지는 않았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가미카와 외무상이 발언에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야마가타현에서 기자들과 만나 “가미카와 외무상이 ‘진의와 다른 형태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지적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고 말한 뒤 발언을 철회했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은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올해 71세인 가미카와 외무상은 지난해 개각에서 19년 만의 여성 외무상으로 임명된 인물이다. 과거 세 차례 법상(법무부 장관)을 지내는 등 각료 경험이 풍부하고 최근에는 차기 여성 총리 후보군으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도쿄 김진아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