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슈퍼화요일 대회전 D-1…한인 유권자 표심은 어디로

美 슈퍼화요일 대회전 D-1…한인 유권자 표심은 어디로

입력 2016-03-01 11:59
수정 2016-03-01 11: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버지니아 표심 ‘힐러리 우위’…“한인사회에 우호적”공화당 지지 한인들 트럼프에 부정적…루비오 선호

하루 앞으로 다가온 ‘슈퍼 화요일’ 경선은 미국 내 한인 유권자들의 표심 흐름을 읽어볼 수 있는 중요한 계기다.

대표적 한인 밀집지역으로 꼽히는 버지니아와 텍사스, 조지아 주에서 경선이 치러지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와 뉴욕과 같은 거대 규모는 아니지만, 이들 3개 주의 한인 유권자 숫자는 약 34만 명으로 전체 미주 한인(약 230만 명)의 15%에 달한다. 텍사스가 약 15만 명으로 가장 많고 버지니아가 11만 명, 조지아가 7만 명 수준이다.

이 가운데 버지니아는 전체 미국 대선의 ‘스윙 스테이트’(경합주)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미주 전역 한인유권자들의 표심을 압축해서 보여주는 풍향계이기도 하다.

특히 수도인 워싱턴D.C.에 근접한 북(北) 버지니아에 포진한 한인 유권자들의 선택이 미주 전체 한인사회의 표심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한인사회 지도자들의 관측을 종합해보면 현 시점에서 버지니아 주 한인사회의 분위기는 민주당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1970∼80년대만 해도 보수 성향이 강한 이민 1세대를 중심으로 공화당 지지가 많았지만, 세대가 젊어지고 ‘이익투표’ 경향이 강해지면서 소수인종 정책에 우호적인 민주당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높아졌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특히 후보 중에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에 대한 지지가 가장 두드러져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클린턴을 지지하는 한인 풀뿌리 자원봉사모임인 ‘코리안 아메리칸스 포 힐러리’(KA-­HILL)가 매우 조직적이고 활발한 움직임을 펴고 있다. 이들 자원봉사자 수십 여명은 28일(현지시간) 버지니아 주 페어팩스에서 전단지를 나눠주며 경선 참여를 호소한 데 이어 이날 조지메이슨 대학에서 열리는 클린턴의 유세 행사에도 참석했다.

한인사회의 정치적 기대주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버지니아 주 민주당 4선 의원인 마크 김(15)도 클린턴에 대한 공개 지지를 선언했으며 적지않은 한인사회 지도자들도 클린턴 지지행렬에 동참하고 있다.

황원균 민주평통 워싱턴협의회장은 연합뉴스에 “클린턴은 한미동맹과 한인 커뮤니티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후보”라고 평가했다. 황 회장은 “클린턴은 미국내 한인들이 미국의 경제, 사회, 문화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고 인정하고 있으며 이민정책을 개혁해 이민자들의 가정을 보호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민주당의 경쟁후보인 버니 샌더스를 지지하는 한인들의 움직임도 적지 않다. 27일 버지니아 주 폴스처치에서는 샌더스를 지지하는 한인과 아시아계 유권자들 수십 여명이 거리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공화당을 지지하는 한인들 사이에서는 아직 조직적인 후원활동이 포착되지 않고 있지만, 오는 7월 전당대회에서 공식 후보가 확정되면 본격적인 지원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로서는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움직임이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쿠바계 이민자 가정 출신의 마르코 루비오 후보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게 한인사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그러나 현재 경선레이스의 선두 주자인 도널드 트럼프에 대해서는 부정적 기류가 강하다고 이들 관계자는 전했다.

루비오를 지지하는 아시안계 지지모임의 의장을 맡은 헤럴드 변은 연합뉴스에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다면 한인사회와 한·미 동맹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의견들이 많다”며 “합리적이면서도 한·미 동맹을 중시하는 루비오나 존 케이식과 같은 후보가 적합하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내의 한인 시민권자는 전체 한인의 60%인 138만 명에 달하고 이중 투표를 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사람은 96만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가운데 실제 투표를 위해 유권자 등록을 할 것으로 보이는 사람은 50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시민참여센터(KACE)와 미주 한인협의회(CKA)와 같은 단체들은 한인들을 상대로 유권자 등록과 투표를 적극적으로 독려하는 켐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새날 서울시의원,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 참석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새날 의원(국민의힘, 강남1)은 지난 7일 서울고등학교 강당에서 열린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에 이새날 서울시의원이 참석해 서울 대표 선수단을 격려했다. 이날 결단식에는 학생선수 856명을 비롯해 학부모, 교사, 지도자 등 약 1000명이 함께했으며, 학생선수단 입장, 축하공연, 격려사, 단기 전달식, 선수 선서, 스포츠 가치 실천 선언 순으로 진행됐다. 이 의원은 격려사를 통해 “서울을 대표해 출전하는 우리 선수들이 최선을 다해 노력한 만큼 값진 결과를 거두길 바란다”며 “학생선수들이 즐겁고 안전하게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대표 선수단은 오는 5월 24일부터 27일까지 경상남도 김해 일원에서 열리는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에 참가해 35개 종목에서 기량을 겨룰 예정이며, 금메달 80개 이상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생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안전한 훈련 환경을 위해 훈련비, 안전 설비비, 지도자 인건비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학습권과 인권 보장을 위해 방과 후와 휴일을 활용한 훈련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한편, 이 의원은 지난해 제53회 전국소년
thumbnail - 이새날 서울시의원,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2 / 5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