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 유력한 베네수엘라 대통령… 독제견제용 美압박에 재정 파탄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북한과 미국 간 대화 방식을 본보기로 삼아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미국이 베네수엘라 정부로 유입되는 외화를 옥죄고 원유 거래를 제한하자 마두로 대통령이 유화 제스처를 보이고 있다는 관측이다.![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5/17/SSI_20180517183824_O2.jpg)
EPA 연합뉴스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5/17/SSI_20180517183824.jpg)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EPA 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다만 미국의 제재에 굴복하지 않겠다며 강경한 뜻을 내비쳤다. 마두로 대통령은 미국과의 대화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미국은 민주주의 국가인 베네수엘라의 주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두로 대통령은 지난해 7월 제헌의회 투표를 강행하고 자신의 집권을 반대하는 시위를 무력으로 진압했다. 이에 미국은 마두로 정권의 독재를 견제한다는 명분으로 베네수엘라에 경제제재를 가했고, 그 결과 베네수엘라 재정은 파산 상태에 이르렀다. 마두로 정권은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돈을 계속 찍어냈지만 자국 화폐인 볼리바르의 가치만 곤두박질쳤다. 더욱이 베네수엘라는 경제 상황이 어려운 데도 불구하고 4억 4000만 달러(약 4757억원) 규모의 원유를 수입해 전달하고 원유 배송비를 할인해 주는 등 쿠바에 최대한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예상된다.
베네수엘라에서는 오는 20일 주요 야당의 불참과 미국 등 국제사회의 반대 속에 조기 대선이 치러진다. 현지 여론조사 기관인 인테르라세스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두로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47%로 가장 높아 재선 가능성이 높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8-05-1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