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건설 시공 라오스 보조댐 붕괴현장
대규모 인명피해를 낸 라오스 보조댐 붕괴현장이 사고발생 5일만인 28일 처참한 모습으로 처음 공개됐다. 왼쪽 노란석 경계석과 770m 떨어진 경계석을 일직선으로 잇던 높이 25m 둑이 완전히 무너졌다. 2018.7.28
연합뉴스
연합뉴스
해발 900~1000m 높이에 있는 보조댐을 구성하던 길이 770m, 높이 25m, 폭 5m 가량의 거대한 둑은 사실상 사라졌다.
시공사인 SK건설 측은 사고 직후 붕괴가 아니라 보조댐 상부 가운데 200m가량이 일부 유실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댐 윗부분을 포장했던 아스팔트조차 상당부분 쓸려 내려간 것으로 파악됐다. 애초 댐이 있었던 자리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흔적조차 사라진 것이다.
라오스 보조댐 붕괴현장
대규모 인명피해를 낸 라오스 보조댐 붕괴현장이 사고발생 5일만인 28일 처참한 모습으로 처음 공개됐다. 2018.7.28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 같은 상황이면 붕괴라고 표현하는 게 적절하지 않으냐는 연합뉴스 기자의 질문에 SK건설 관계자는 “붕괴는 구조물이 내려앉은 것이고, 유실은 물에 쓸려 내려갔다는 의미”라면서 “정확한 사고 원인은 라오스 정부 차원에서 조사하고 있으니 그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사고 원인과 관련, 캄마니 인티라스 라오스 에너지·광산부 장관은 지난 26일 언론 인터뷰에서 “규격에 미달한 공사와 예상치 못한 규모의 폭우가 원인인 것 같다”고 주장했다.
라오스로 가는 한국의 첫 구호물자
담요와 위생키트 등 구호물자를 실은 군 수송기가 28일 서울공항에서 댐 사고가 발생한 라오스로 출발하고 있다. 수송기에는 민간 구호물자도 함께 실렸다. 2018.7.28
공군 제공
공군 제공
이에 대해 SK건설 측은 역대 최고급 폭우로 보조댐이 유실됐다는 입장이다. 사고 전 열흘간 무려 1000㎜가 넘는 비가 내렸고, 사고 하루 전에도 438㎜의 ‘물폭탄’이 쏟아졌다는 설명이다.
한편, 이번 사고 희생자와 관련, 라오스통신(KPL)은 26일 사망자 27명, 실종자 131명, 이재민 3천60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한 바 있으나 정확한 사망자 숫자를 놓고는 현지 정부 당국과 언론의 발표가 혼선을 빚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