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배우 판빙빙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9/17/SSI_20180917202217_O2.jpg)
EPA 연합뉴스
![중국 배우 판빙빙 EPA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9/17/SSI_20180917202217.jpg)
중국 배우 판빙빙
EPA 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중국 미디어를 총괄 감독하는 중국공산당 중앙선전부(중선부)가 자국 영화사들에 금마장 발언 논란을 알려주면서 내년부터 금마장의 참가신청 금지를 지시했다고 대만 빈과일보가 20일 홍콩 빈과일보의 보도를 인용해 전했다.
금마장 발언 논란은 지난 16일 금마장 영화제에서 다큐멘터리 작품상을 받은 푸위 감독이 단상에서 “우리나라(대만)가 국제사회에서 하나의 개체로 인정받는 날이 오기를 소원한다”고 수상소감을 밝힌 게 발단이 됐다. 이어 시상자로 나선 중국 배우 투먼은 푸 감독의 발언을 의식한 듯 “‘중국’ 대만 금마장에 초청해줘 감사하다”고 인사한 뒤 “양안은 한가족”이라고 말해 논란이 가중됐다.
![판빙빙의 웨이보.](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20/SSI_20181120161510_O2.jpg)
![판빙빙의 웨이보.](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20/SSI_20181120161510.jpg)
판빙빙의 웨이보.
남우주연상을 받은 중국 배우 쉬정과 감독상을 수상한 장이머우 감독 역시 “중국 영화의 앞날을 기대한다”며 중국 만을 언급하자 정리쥔 대만 문화부장(장관)은 페이스북에 “여기는 대만입니다. 중국 대만이 아닙니다”라는 글을 올려 불쾌한 심정을 여과없이 드러냈다.
이번 영화제 집행위원장 리안 감독도 “수상자가 시상대에 올라 수상소감을 말할 때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지 않느냐”며 은근히 푸 감독을 지원했다. 그러자 영화제에 참석했던 중국 배우들과 관계자들이 공식 특별파티에 참석하지 않았고, 대다수 중국 영화계 인사는 일정을 앞당겨 중국으로 돌아갔다. 심사위원장인 중국 배우 공리는 작품상 시상을 거절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금마장 시상식장의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논쟁은 다시 중국과 대만의 온라인으로 번졌다. 대만 네티즌은 푸 감독의 용기에 환호를 보냈고, 중국 네티즌은 “대만은 영원히 중국의 일부분”이라는 댓글을 달았다.
![다큐멘터리 작품상 수상한 푸위 감독.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20/SSI_20181120161850_O2.jpg)
![다큐멘터리 작품상 수상한 푸위 감독.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20/SSI_20181120161850.jpg)
다큐멘터리 작품상 수상한 푸위 감독. 연합뉴스
그러나 중국 영화사들은 (중선부 지시를) 들은 적이 없다며 답변을 회피했고, 대만 금마장 집행위원회도 “듣지 못했다. 다음 금마장은 내년 6월부터 참가 신청을 받는다”만 답변했다고 이 신문이 전했다.
한편 대만에서 열리는 연례 영화제인 금마장은 홍콩의 홍콩영화금상장, 중국의 금계백화장과 함께 중화권 3대 영화제로 꼽힌다. 1962년 첫 영화제가 열린 금마장은 중화권에서는 가장 오래 됐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