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대혼란] 투표 찬성→조기총선→정권교체→합의 땐 그렉시트는 면해

[그리스 대혼란] 투표 찬성→조기총선→정권교체→합의 땐 그렉시트는 면해

김규환 기자
입력 2015-07-01 00:00
수정 2015-07-01 03: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파국 막을 시나리오는

벼랑 끝에 내몰린 그리스에 지구촌의 시선이 쏠려 있다. 그리스에 퇴로가 열려 있기도 하지만 삐끗하면 ‘채무불이행(디폴트)→유로화 사용 포기(그렉시트)’로 이어지는 파국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스가 파국을 피하기 위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로드맵은 ‘국민투표 찬성, 조기 총선 실시, 정권 교체, 새 정부와 채권단 재협상, 구제금융 합의’ 수순을 밟는 것이다. 국민투표에서 찬성표를 더 많이 던지면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가 사임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하게 된다. 이어 총선에서 정권 교체가 이뤄지면 구제금융 협상파들로 팀을 꾸려 채권단과 재협상을 통해 합의를 이끌어 낸다는 시나리오인 셈이다. 이에 따라 오는 5일 실시되는 국민투표가 그리스의 향방을 결정하는 최대의 갈림길이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 파이낸셜타임스 등이 지난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 상황에서는 찬성 쪽이 우세하다. 지난 24~26일 카파 리서치가 여론조사를 한 결과 채권단의 협상안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이 47.2%로, 반대한다(33.0%)는 견해보다 14.2% 포인트나 높았다. 유로존 잔류를 원한다는 응답자는 67.8%로, 그렉시트를 바란다는 응답자(25.2%)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국민투표 결과가 여론조사와 같이 나오면 치프라스 총리 내각이 사퇴하고 한 달 내 총선이 치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조기 총선 결과 현 집권세력인 급진좌파연합(시리자)이 다시 정권을 잡을지도 변수가 된다. 조기 총선으로 정권이 교체돼 채권단과 협상에 나서 합의안을 이끌어 내면 채권단의 신속한 지원이 이뤄져 파국은 면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이날 그리스의 그렉시트 가능성을 50% 정도로 전망하면서 6개월 이내 그리스의 장기 국가신용등급을 ‘선택적 디폴트(SD)’로 강등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07-0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