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의 십만양병설은 여진족 막기 위한 것”

“율곡의 십만양병설은 여진족 막기 위한 것”

입력 2012-03-07 00:00
수정 2012-03-07 08: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덕기 교수, 연구논문 발표

왜적에 대항하기 위해 10만의 대군을 키워야 한다는 율곡(栗谷) 이이(1536-1584)의 ‘십만 양병(十萬養兵)설’은 왜적이 아니라 여진족을 막기 위한 방책이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덕기 청주대 교수는 오는 10일 한일관계사학회 월례발표회에서 발표할 연구논문 ‘이율곡의 십만 양병설에 대한 재검토’에서 이같이 주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민 교수는 “십만 양병설은 임진왜란과 연결할 수 없다”면서 이이가 실제로 십만 양병설을 제기했다면 그것은 남쪽의 왜적이 아니라 북쪽의 여진족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시 시대적 배경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이가 병조판서로 있던 1583년 당시 일본은 전국 통일을 눈앞에 뒀던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가 사망한 직후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아직 정국을 장악하지 못했던 때였다.

반면 조선의 동북방 지역에서는 여진족 니탕개(尼湯介)의 난이 일어나 위기가 고조됐다.

당시 조선 조정은 각 도에서 정예 병사를 뽑아 동북방 지역에 파견했으며, 선조가 사찰의 종까지 거둬들여 무기인 총통(銃筒)을 만들라고 지시했을 정도로 니탕개의 난은 조선 조정에 큰 위기의식을 불러일으켰다.

민 교수는 “당시 국방차원에서 주로 논의된 지역은 ‘남왜(南倭. 남쪽 왜적)’가 아니라 동북방의 ‘북로(北虜. 북쪽 오랑캐)’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니탕개의 난이 일어나 (여진족 병사) 2만여기(騎)가 육진(六鎭. 조선 세종 때 여진족에 대비해 두만강 하류 남안에 설치한 군방 요충지)을 유린하고 있었다”면서 “십만 양병설이 사실이라면 일본용이 아니라 동북방 여진용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당시 일본은 “누가 주도권을 쥘 수 있을지 일본 내에서조차 오리무중이었던 때였다”면서 “그런 때 율곡이 히데요시의 침략을 예상했다면 하느님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민 교수는 “임진왜란이라는 거대한 쓰나미는 1580년대의 니탕개의 난으로 촉발된 동북방의 제반문제를 삼켜버렸다”면서 “율곡이 그토록 고심하던 동북방 문제는 임진왜란의 발발로 대일용(對日用) 십만 양병설이 되어버렸다”고 주장했다.

민 교수는 십만 양병설이 어떻게 ‘국민적 상식’이 되었는지, 또 십만 양병설을 부정하는 일부 학계의 주장과 이에 대한 반론도 상세하게 소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