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3일밤 ‘극한직업’
23~24일 밤 10시 45분 EBS 극한직업은 ‘설악산을 지키는 사람들’ 편을 방영한다. 해발 1708m의 높이를 자랑하는 설악산은 한라산, 지리산에 이어 남한에서 세 번째로 높은 산이다. 1년 내내 흰 눈이 덮여 있다 해서 설악이란 이름이 붙은 이 산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대한민국 자연생태계의 보고이기도 하다.![설악산에서 발생한 응급환자 수송을 위해 출동한 헬기. 설악산이 이름을 드높일수록 설악산을 지키는 사람들은 바빠진다. EBS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1/22/SSI_20130122182800.jpg)
EBS 제공
![설악산에서 발생한 응급환자 수송을 위해 출동한 헬기. 설악산이 이름을 드높일수록 설악산을 지키는 사람들은 바빠진다. EBS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1/22/SSI_20130122182800.jpg)
설악산에서 발생한 응급환자 수송을 위해 출동한 헬기. 설악산이 이름을 드높일수록 설악산을 지키는 사람들은 바빠진다.
EBS 제공
EBS 제공
혹한의 추위가 밀려올수록 일터인 중청대피소까지 3시간에 걸친 출근을 감행한다. 눈보라에다 차디찬 겨울바람이 살을 에는 듯하지만 포기할 수 있는 길이 아니다. 올라가면서 눈을 치우고 얼음을 깨 가며 등반객들을 위한 길을 확보해야 한다. 거기다 요즘은 신종 레포츠로 빙벽타기까지 있다. 안전을 위해 이들은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허가의 기준을 누가 정하겠는가. 이들이 빙벽에 오르기 전 미리 빙벽에 올라 허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생기는 환자들. 등반객 한 명이 대피소를 찾아온다. 가슴과 다리에 통증을 호소하는데 이 사람의 상황을 확인하고 어떻게 하산시킬 것인가를 두고 논란이 인다.
구조대 사람들은 등산객뿐 아니라 동식물도 챙겨야 한다. 자연환경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다 보니 희귀 동식물들이 제법 있기 때문. 안전사고를 대비하는 팀은 이들 등산객을 관찰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산양을 보기 위해 길을 나선다. 산양이란 놈은 고약하게도 지형이 험하고 가파른 고산 암벽지대에 산다. 그래서 산양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적지 않은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3-01-2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