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끝까지 흥이 왔수다
이 ‘배비장타령’을 바탕에 깔고 전통적인 요소와 서양 공연 양식인 뮤지컬을 접목한 것이 ‘살짜기 옵서예’다.
뮤지컬을 보지 않았더라도 “살짜기, 살짜기, 살짜기 옵서예”라는 선율이 익숙하다는 사람이 많을 터. 1966년 서울 시민회관(지금 세종문화회관 자리)에서 초연한 ‘살짜기 옵서예’에서 애랑 역할을 한 패티김이 부른 바로 그 노래다. 당시 작품은 김영수(극본)·최창권(작곡)·임영웅(연출)·임성남(안무) 등 당대 최고의 제작진이 뭉쳐 크게 히트했다. 1996년까지 다섯 차례 더 제작되면서 김상희, 김하정, 배인숙 등이 애랑을 거쳤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 오른 ‘살짜기 옵서예’는 전작의 흥과 신작의 참신함을 두루 갖추고 있다.
막이 오르면 유채꽃이 흐드러진 무대가 관객을 맞는다. 해녀들의 노래 한판 뒤에 익살이 줄줄이 이어진다. 애랑(김선영)의 교태에 앞니까지 뽑는 정 비장(원종환·김재만), 애랑에게 얼이 빠져 제가 무엇을 하는지도 모르는 배 비장(최재웅·홍광호), 배 비장을 시시각각 농락하는 방자(김성기·임기홍) 등 배우들의 행동과 대사가 관객의 얼을 빼놓는다. “살짜기, 살짜기 옵서예”, “이렇게 될 줄 알았네~” 같은 노래는 공연장을 나설 때까지 흥얼거리게 한다. 제주 풍광과 배 비장의 부인 혼령, 커다란 돌하르방이 눈을 끔뻑이는 모습 등에 영상 기술을 안성맞춤으로 활용했다.
2002년 데뷔 후 처음 한복을 입고 무대에 오른 배우 홍광호는 “이제 한복만 입고 싶다”며 너스레를 떨더니 “원작에 풍자만 있었다면, 이 작품에는 해학과 사랑이 있다”면서 진지하게 작품을 설명했다. 배 비장이 부인과 사별한 것으로 설정하고, 애랑을 만나 참사랑을 찾게 되는 것이 원작과 다른 부분이다. 사랑 이야기가 들어가면서 원작의 골계미가 희석되는 부분도 있지만, ‘흥겨운 뮤지컬 한판’이라는 의도에는 충실하다. 관객들이 어깨를 들썩이며 신명에 몸을 맡긴다면, 전통과 서양 공연 양식을 잘 버무린 이 작품이 더 완벽해질 수 있다. 3월 31일까지. 4만 4000~9만 9000원. 1588-0688.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2013-02-2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