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안무가 윌리엄 포사이스 ‘헤테로토피아’로 첫 내한
“나는 과학자가 아니다. 무엇을 해결하거나 답을 주려고 작품을 만들지 않는다. 나는 오히려 주술사에 가깝다. 관객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공연을 알 수 있을 것이다.”윌리엄 포사이스 안무가
포사이스는 작품에 대해 “듣기는 쉽지만 보기는 힘들다”고 소개했다. 미셸 푸코의 논문 ‘다른 공간들’(1967)에서 개념을 차용한 이 작품은 우리가 대상을 볼 때 실체가 아닌 기존의 지식과 편견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표현한다. 공연장은 무대와 객석의 구분 없이 공간 두 개로 나뉘어 있다. 한 공간에서는 비명과 소음이 난무하고 다른 한쪽은 조용하다. “한 공간에서 무용수가 ‘춤’을 추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콘서트나 연극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움직임의 의미는 다른 공간을 가야 비로소 이해된다. 공연 전반에 매우 많은 요소와 구조가 중첩되는데 두 공간을 적극적으로 오가야 그 ‘화음’을 알게 된다.”
‘해체와 조화’는 그가 꾸준히 추구해 온 무용철학이기도 하다. 미국 뉴욕에서 태어난 그는 독일 프랑크푸르트발레단 예술감독(1984~2004년) 시절 토슈즈를 고집하면서도 발레 동작을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시도로 현대발레의 발전을 이끌었다.영국 로열발레단, 프랑스 파리오페라발레 등 세계 유명 발레단이 그를 주요 레퍼토리 안무에 초청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2005년에 자신의 이름을 딴 무용단을 만들어 더욱 급진적이고 실험적인 현대무용 작품을 탄생시켰다. 그 대표작이 ‘헤테로토피아’다.
“기존의 발레와는 다르게 어떻게 표현할 것이가를 고민하면서 발레의 변화와 확장을 시도한다”는 그는 “나와 무용수들은 작품에서 끊임없이 대화와 토의를 하면서 그것을 완성시켜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포사이스의 ‘헤테로토피아’는 오는 14일까지 경기 성남시 야탑동 성남아트센터에서 공연된다.
최여경 기자 kid@seoul.co.kr
2013-04-1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