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 사격장 구조물 철거·조경 선수촌 지방 이전 논의 다시 가열
문정왕후(文定王后·1501~1565)가 잠든 태릉이 40여년 만에 원래의 모습을 되찾는다. 이번 복원을 계기로 태릉선수촌의 지방 이전 논의도 다시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 조선왕릉관리소는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인 문정왕후가 묻힌 태릉의 북서쪽 우백호 지역 클레이 사격장 부지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능제(制) 복원 공사를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그동안 태릉은 조선 명종과 명종비 인순왕후(仁順王后)가 묻힌 서울 노원구 공릉동의 강릉과 함께 조선 왕릉 가운데 가장 훼손이 심한 곳으로 꼽혀 왔다. 1960년대 군사정권이 들어선 뒤 능역 안에 사격장, 국군체육부대, 수영장, 선수촌 등의 각종 시설이 무질서하게 들어선 탓이다. 이번 조치는 유네스코(UNESCO)의 권고에 따라 이뤄졌다. 정부는 2009년 6월 조선 왕릉 40기(북한에 자리한 2기 제외) 전체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으나 유네스코가 조선 왕릉이 일부 훼손된 점을 들어 능역 복원을 권고해 왔다. 정부는 조선 왕릉 보존·관리·활용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했고, 이후 훼손된 왕릉의 능역을 점진적으로 복원 중이다.
일각에선 태릉 복원이 궤도에 오르면서 충북 진천 등에 제2선수촌을 마련한 태릉선수촌의 지방 이전도 복격화할 것이란 전망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체육계는 태릉선수촌 자리에 일부 체육시설을 존치할 것을 주장하지만 문화재청은 태릉의 완벽한 복원을 위해 체육시설 모두를 이전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편 문화재 관련 시민단체들은 태릉 복원과 관련, 1950년대 미국으로 불법 반출된 문정왕후의 어보를 되찾아 오는 반환 운동이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오는 18일 어보를 소장한 미 로스앤젤레스(LA) 카운티 박물관과 2차 회담을 가져 반환 여부를 마지막으로 조율할 예정이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9-1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