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에 휘둘린 한국사회를 드러낸 인물”
이번엔 소설이다. 2008년 결심 공판을 끝으로 기억에서 사라지는가 싶었던 ‘신정아 사건’은 지난 3월 신씨가 직접 썼다는 수필 ‘4001’에 이어 드라마 ‘미스 리플리’에서 또다시 다뤄졌다. 서하진(51) 경희대 국문과 교수는 신작 장편소설 ‘나나’의 여주인공 나나를 신정아를 연상시키는 욕망의 화신으로 설정했다.![신정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8/10/SSI_20110810022550.jpg)
![신정아](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8/10/SSI_20110810022550.jpg)
신정아
이어 “신정아 사건은 우리 사회가 가진 기본적인 문제점을 다 폭발시켰기 때문에 자꾸 이슈가 된다.”면서 “우리 사회가 욕망에 휘둘리고 있으며, 신정아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맹목적으로 폼나는 일을 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나나는 거짓말을 할 때 더욱 아름다워 보이는 여성이다. 누구든 단박에 사로잡을 정도로 빼어난 매력을 지닌 나나는 거짓말을 일삼고 학력마저 위조하며 성공의 동아줄을 움켜쥔다. 유부녀임에도 자신의 매력을 앞세워 여러 남자를 유혹한다. 비엔날레 총감독이 되려고 고급 공무원에게 접근하고 이복 오빠마저 욕망을 채우는 대상으로 삼는다.
서 교수는 “처음부터 신정아 사건을 염두에 두고 팜므 파탈 여주인공을 설정하지는 않았다.”며 “소설과 미술 모두 인간의 욕망을 드러내는 매체이므로 미술을 소설에 끌어들이다가 욕망에 사로잡힌 여성을 묘사했다.”고 덧붙였다.
치명적인 매력으로 주변 사람을 나락에 빠뜨리는 팜므 파탈은 문학사적으로도 많은 작가가 공들여 묘사해 온 캐릭터다.
우선 나나도 에밀 졸라(1840~1902)의 장편 소설 ‘나나’와 이름이 같다. 졸라의 나나는 창녀로 주변 남자들을 죄다 유혹하지만 모성애만은 잃지 않아 결국 아들에게서 천연두를 옮는다.
서 교수는 “사람들이 나쁜 여자에게 끌리는 이유는 우리 속에 기본적으로 악이 있는 때문이기도 하지만, 나쁘면 죄의식 없이 세상을 편하게 살 수 있을 거라는 생각 때문”이라면서 “기본적으로 악에 대한 동경은 마음속에 선함이 있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8-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