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표정인 듯, 심각한 듯, 웃는 듯…못난이 삼형제 같은 5세기 토기

무표정인 듯, 심각한 듯, 웃는 듯…못난이 삼형제 같은 5세기 토기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9-12-03 17:34
수정 2019-12-04 03: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산 소월리 유적서 시루와 함께 첫 출토

5세기 한반도 남부에 살았던 조상의 얼굴 모양이 삼면에 장식된 토기가 경북 경산 소월리 유적에서 나왔다.

화랑문화재연구원은 금호강 지류인 청통천 소월리 유적 발굴 조사에서 표면에 구멍을 뚫어 사람 얼굴 모양을 나타낸 높이 28㎝가량의 투각인면문옹형토기가 출토됐다고 3일 밝혔다. 이전에도 진주 중천리 유적, 함평 금산리 방대형고분에서 사람 얼굴 모양 토기가 나온 적이 있지만 삼면에 얼굴 모양이 표현된 사례는 처음이다.

청통천 인근 넓은 평야를 조망하는 나지막한 언덕에 자리한 소월리 유적에는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고상건물지와 구덩이(수혈), 토기가마, 고려∼조선 시대 무덤 등이 분포돼 있다. 고상건물은 땅에 세운 기둥 위에 바닥을 만든 건물이다. 구릉의 완만한 경사면에 밀집돼 있고, 주변으로 배수를 위한 도랑과 구덩이들, 울타리(추정) 등을 배치해 일반적인 거주보다는 의례 등 특수 목적의 건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얼굴 모양 토기는 지름 1.6m가량의 구덩이에서 수습됐다. 토기 옆면에 같은 간격으로 원형 구멍을 뚫어 귀를 표현했고, 각 구멍 사이에 만들어진 세 개의 면에 각각 무표정하거나 심각하거나 말을 하는 듯한 얼굴 무늬를 새겼다. 두 눈과 입은 밖에서 오려 냈고, 콧구멍으로 보이는 구멍은 안에서 밖으로 찔러 만들었다. 콧등을 중심으로 양쪽을 살짝 눌러 콧등을 도드라지게 표현했다. 바닥이 의도적으로 제거되고, 몸통 중간에 소뿔 모양 손잡이 2개가 달린 시루도 함께 출토됐는데, 토기와 결합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랑문화재연구원은 “토기 제작 기법과 특징 등을 보면 5세기 전반 또는 그 이전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일종의 의례 행위와 관련됐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19-12-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