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만에 3집 ‘vol.3’활동하는 이장혁… 10년 간 홀로 느리지만 타협없는 음악
음악이 뮤지션의 생존을 보장할 수 없는 시대에 대중과의 타협은 뼈아프지만 불가피한 선택지 중 하나다. 그러나 싱어송라이터 이장혁(42)은 대중성과는 등을 돌린 채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왔다. 직장인으로 생활하며 틈틈이 곡을 쓰고 홍대 앞에서 공연하며 느린 호흡으로 결과물을 하나씩 내놓았다. 밴드 활동을 하다 2004년 솔로로 나선 뒤 10년 동안 그가 발표한 앨범은 단 3장. 오로지 그의 내면을 파고든 음악은 듣는 이의 귀에 가닿는 순간 생각지 못했던 공감을 이끌어낸다.모두 12곡이 꽉꽉 들어찬 이번 앨범은 1집의 무게감과 포크록에 집중한 2집의 어쿠스틱함 사이를 오간다. ‘칼집’과 ‘불면’은 1집의 음울하고 사이키델릭한 사운드가 살아있는 반면 ‘빈집’과 ‘비밀’은 사운드가 단출하고 보컬도 나른하다. 수록곡 저마다 악기 구성과 장르의 조합, 창법도 제각각이다. “1집이 소리를 쌓는 작업이었다면 2집은 소리를 덜어내는 작업이었어요. 이번 앨범에서는 1집과 2집의 음반을 반반씩 섞었어요. 한 앨범 안에서 두 곡이 비슷하면 한 곡은 빼는 식으로 다양한 음악을 담았습니다.”
젊은 시절 거칠고 저항적인 음악을 했던 뮤지션들도 시간이 흐르면서 칼끝이 무뎌지게 마련이지만, 그는 과거나 지금이나 내면의 고통을 가감 없이 음악 위에 쏟아낸다. ‘칼집’에서는 젊은 날의 화와 분노를 삭이며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녹슨 칼집에 비유해 풀어냈고, ‘에스키모’에서는 떠나간 연인에 대한 그리움을 황량한 북극의 에스키모로 묘사했다. 타이틀곡 ‘불면’은 “미친 패잔병처럼 터벅터벅 어두운 거리를 걷네”라며 모두가 잠든 새벽 홀로 방황하는 자신을 씁쓸하게 바라본다. 수록곡들은 모두 자신의 경험이나 내면의 정서를 바탕으로 했다.
청춘의 정서를 노래한다는 세간의 평가에 대해 그는 “이제 청춘을 노래할 시기는 지난 것 같다”며 웃었다. 하지만 나이를 불문하고 누구나 꾹꾹 눌러 담고 있는 내면의 어두움이라는 말에는 고개를 끄덕였다. “나이가 들고 아이가 생겼다고 해서 제 음악이 변하지는 않아요. 오히려 나이가 들수록 속으로 삭여야 하는 감정을 노래하게 되기도 하죠. 밝은 노래를 안 해본 건 아니지만, 어두운 노래를 만드는 데 더 재능이 있는 것 같아요.”
지난달 가진 컴백 공연에서 그는 이번 앨범을 준비하며 느꼈던 고독함에 대해 털어놓았다. “녹음을 저 혼자 했어요. 녹음실에서 노래하고 나와서 모니터링하는 식이었는데 혼자서는 안 되는 부분이 많았어요. 스스로에 대한 의구심이 생겼고 한계를 느꼈죠.” 이번 앨범 역시 별다른 홍보 활동 계획은 없다. 외로울 수밖에 없는 길이지만 “내가 좋아하는 음악을 한다는 즐거움”이 그를 지탱하는 힘이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4-10-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