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리사이틀 앞둔 피아니스트 김선욱
“10대 초반 음악이 정말 좋았던 그 시절을 다시 찾은 기분입니다.”![피아니스트 김선욱](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8/14/SSI_20180814164414_O2.jpg)
![피아니스트 김선욱](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8/14/SSI_20180814164414.jpg)
피아니스트 김선욱
이번 리사이틀은 작곡가들이 30세인 자신과 비슷한 나이였을 때 작곡한 곡들로 구성했다. 1부에서는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9번과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7번 ‘템페스트’를 선보인다. 각각 장조와 단조의 곡으로 대비를 이뤘다는 게 김선욱의 설명이다. 2부에는 드뷔시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과 브람스의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를 연주한다. 드뷔시 연주는 그가 주로 독일 레퍼토리에 장점을 보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김선욱은 “모차르트는 단명했으니 예외이지만, 작곡가들이 전성기일 수 있고 과도기일 수도 있는, 생애 중간쯤 위치해 있을 때의 곡으로 구성했다”면서 “드뷔시는 올해가 서거 100주년이란 점에서 의미가 있고 브람스의 헨델 주제 변주곡은 개인적으로 좋아하지만 공연에서 연주해 본 적은 없는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김선욱은 2006년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최연소 우승 및 동양인 최초 우승 타이틀을 거머쥔 후 한국을 대표하는 스타 피아니스트로 성장했다.
20대 때 수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그는 이번 독주회를 준비하며 자신의 음악세계가 한 단계 도약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어릴 때는 단계를 밟아나가는 것이 아니라 ‘월반’을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남들보다 더 성숙하다는 것을 드러내기보다는 이제 스스로에게 솔직한 음악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이번 리사이틀은 31일 하남 문화예술회관을 시작으로 5차례 지역 공연에 이어 9월 9일 서울 에술의전당에서 마무리된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8-08-1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